인터넷 장터, 이커머스가 뜨고 있다.
대표적인 닷컴기업인 이커머스 기업들이 제2의 전성기를 맞고 있다.
이커머스 기업들은 90년대말 닷컴신화를 창조하는데 주도적 역할을 했으나 벤처거품이 빠지면서 한때 위기를 겪기도 했다.
그러나 인터넷환경이 개선되고 사이버장터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점차 바뀌면서 이커머스가 새로운 거래형태로 자리잡게 된 것이다. 옥션, 이니시스 등 이커머스 관련기업들은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올들어 매출이 급증했으며 사이버 장터를 입점시킨 포털업체들도 덩달아 호조를 보이고 있다. 이에 힘입어 코스닥시장을 이커머스 기업들이 주도하고 있으며 나스닥도 비슷한 상황이다.
특히 최근에는 미ㆍ이라크 전쟁에다 사스(SARSㆍ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까지 겹쳐 경기침체의 골이 더욱 깊어지고 있는 가운데 이커머스 기업만 유독 잘 나가고 있어 그 위력을 더욱 실감하게 해주고 있다. 미국, 홍콩 등의 이커머스 기업들의 매출이 전쟁이나 사스 이후 오히려 크게 늘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도 이커머스는 경기침체속에 하나의 버팀목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통계청의 올 1ㆍ4분기 사이버쇼핑몰 통계에 따르면 3월말 현재 사업체 수는 3,188개로 한달새 3.4% 증가하고 3월 거래액은 5,710억원으로 1.3% 늘었다. 통계청은 3월이 신학기 등 통상적으로 거래가 많은 점을 들어 거래액이 증가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했지만 최근 대형 백화점은 물론 할인점의 매출이 크게 줄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사이버 쇼핑몰이 소비자를 끌어들이는 힘은 상대적으로 세어지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정보통신부가 최근 발표한 올 2ㆍ4분기 인터넷산업 경기전망 조사를 보면 전체 인터넷산업 경기지수가 1ㆍ4분기 112에서 91로 낮아진 가운데 전자상거래 및 포털 업체들의 경기ㆍ매출 전망지수는 각각 183과 167 을 기록했다.
대부분의 대기업이 어떤 식으로든 이커머스에 참여하고 있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실제로 이제 이커머스가 침투하지 않은 분야가 없어지고 있다. 클립에서 대형기계 까지로 확대되고 있는 기업 소모성자재(MRO)는 물론 건설자재, 철강제품, 화학제품 등 원자재, 농수산물 등도 온라인으로 거래되고 있다. 정부는 40여개의 전문업종 B2B 이마켓플레이스 구축작업을 지원하고 있다. 가전ㆍ전자ㆍ통신기기, 컴퓨터 및 주변기기 이마켓플레이스는 이미 가장 활발히 거래가 이뤄지고 있는 분야다.
국내 전자거래규모는 2000년 57조5,000억원, 2001년 118조9,000억원, 지난해 170조원으로 매년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또 총거래에서 전자거래가 차지하는 비중도 2000년 4.5%, 2001년 9.1%. 지난해 13%를 차지함에 따라 전자거래가 중요한 거래수단의 하나로 자리잡게 됐다. 부문별로는 B2B는 2000년 52조원에서 지난해 155조원으로 2년새 3배나 급증했으며 B2C도 2000년 7,000억원에서 지난해 5조원으로 7배이상 늘었다.
최근에는 정부와 기업간 거래인 B2G 시장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지난해 3ㆍ4분기 B2G 거래금액은 29조9,000억원으로 2001년 동기의 14조4,700억원에 비해 2배이상 늘어났다. 이밖에도 올들어서는 해외기업과 국내기업간 온라인 거래인 B2F, F2B 거래가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미 한ㆍ일간 이트레이드 허브 구축사업이 2단계에 접어들었으며 중국 등을 포함한 아시아권, 유럽권으로 확대가 꾸준히 추진되고 있다.
여기에다 정부는 최근 전자거래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종이문서를 대체하는 전자문서이용 촉진에 관한 법률안을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또 전자문서의 교환과 보증, 보관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공인전자문서보관소를 설치하는 전자거래기본법 개정에 도 나서고 있다. 전자거래시 부가가치세를 감면해 주자는 제안도 최근 점차 설득력을 얻어 가고 있다.
그러나 이커머스 시장이 커질수록 전자거래 분쟁이 늘어나고 있는 것은 경계해야 할 대목이다. 전자상거래분쟁조정위원회에 올 1ㆍ4분기 접수된 분쟁조정 건수는 648건으로 전년동기에 비해 무려 5배나 늘어났다. 이것은 지난해 총 분쟁조정 신청건수 854건의 70%를 웃도는 것이다. 한국전자거래진흥원 관계자는 “올들어 분쟁조정 신청건수가 월평균 200건을 넘어서고 있다”며 “소비자들의 주의에 앞서 이커머스 사업자들의 양심적인 사업전개를 주문하고 싶다”고 말했다.
<조충제기자 cjcho@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