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한국 견제 의도… "또 다른 규제 나올까" 초긴장

■ 브라질, 한국車 세율 30%P 인상<br>보호무역 기조 아르헨티나·칠레 등 인접국가로 확산 우려<br>현대차, 올 가을께 현지 생산체제 구축… 기아차 "장기대책 마련"


브라질 정부가 올해 12월까지 현대기아차 등 일부 수입차에 대해 공산품세(IPI)를 30%포인트 인상하기로 한 것은 의도적으로 한국을 겨냥한 조치로 업계에서는 앞으로가 더 걱정이라는 반응이다. '세금 폭탄'을 통해 주로 한국산 차량 수입 급증을 견제하겠다는 브라질 정부의 정책기조가 또 다른 규제를 만들어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데다 이 같은 수출장벽 높이기가 아르헨티나와 칠레 등 여타 국가들에게까지 번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번 조치로 브라질 시장에서 한국 업체들은 엄청난 차별을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됐다. 브라질 국영통신인 아젠시아 브라질에 따르면 GMㆍ도요타ㆍ혼다ㆍ닛산ㆍ포드ㆍ푸조ㆍ르노ㆍ폭스바겐ㆍ메르세데스-벤츠 등 18개 업체는 이번 공산품세 인상 대상에서 제외돼 7~25%의 공산품세를 적용 받는다. 현대ㆍ기아차를 제외하면 사실상 세계 유력 브랜드 전체가 세금 인상 대상에서 빠지는 셈이다. 중국 업체들도 세율 인상 대상이지만 중국 자동차업계의 수출이 아직 미미한 수준인 것을 감안하면 유독 한국 업체만이 브라질 보호무역 기조의 타깃이 된 것이다.


현대차와 기아차는 지난해 국내 공장에서 만든 완성차 15만대를 브라질에 수출했다. 현대ㆍ기아차의 1월 내수 판매가 8만대가 채 되지 않는 것을 감안하면 무시할 수 없는 규모지만 37~55%의 공산품세를 적용 받는 올해는 지난해와 같은 성적을 기대하기 어렵게 됐다.

브라질 정부는 지난해 "9월 자국산 자동차 부품 의무사용을 지키지 않거나 연구개발(R&D) 투자가 부족한 업체에서 생산한 자동차업체가 만든 차에 대해 공산품세를 30%포인트 올리겠다"고 밝혔다.


이는 브라질을 비롯해 아르헨티나ㆍ파라과이ㆍ우루과이ㆍ베네수엘라 등 남미 공동시장(메르코수르) 회원국에서 생산되는 자동차에 실질적인 혜택을 주겠다는 의도에서 나온 조치다.

관련기사



세율 인상 대상에서 빠진 18개 업체들은 이미 현지 생산 체제를 갖추고 ▦브라질산 부품 65% 의무 사용 ▦11개 생산공정 중 최소 6개 이상 현지화 ▦매출액의 0.5% 이상 R&D 투자 등 브라질 정부가 내세운 조건을 충족시켰다.

그러나 현대차는 지난해 2월에야 현지 공장 건설을 시작했다. 경쟁업체들에 비해 뒤늦게 현지 생산체제 구축을 시작한 것이어서 올 가을께 공장이 완공되기 전까지는 불이익을 피할 수 없게 됐다.

기아차는 더욱 절망적이다. 브라질뿐만 아니라 중남미 전체에서 인기가 급상승하고 있지만 아직 현지 생산 체제를 검토하지 않고 있어 어려움이 장기화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7,000대를 수출한 쌍용차 역시 브라질이 무시할 수 없는 시장이지만 올해 수출 급감은 피할 수 없게 됐다는 분석이다.

자동차업계의 한 관계자는 "브라질을 비롯한 중남미 시장이 차지하는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면서 "한창 올라가고 있는 한국 차 브랜드 인지도에 찬물을 끼얹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올 가을 완공될 현대차 브라질 공장은 현지형 모델로 개발한 소형차를 연간 15만대 생산할 예정이다. 현대ㆍ기아차의 한 관계자는 "현지 생산에 들어가면 브라질 정부가 내세운 부품 비율 등 기준을 준수하겠다"면서 "기아차의 경우는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맹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