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對北전력 공급’ 관련업계 특수 부푼꿈

발전소건설땐 최소5조 규모<br>전기공사 업체등 준비 착수

정부가 북핵문제 해결을 위해 북한에 직접 전력을 공급하겠다고 약속함에 따라 다가올 대북특수에 관련업계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 시장 규모가 제한적인 상황에서 거대 신시장의 출현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14일 전기업계에 따르면, 대북 전력 직공급에 따른 건설 및 시설공급 시장이 최소 5조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점쳐졌다. 발전소를 추가로 건설할 경우 2~3조원이 필요하고 송ㆍ변전시설 건설에 1~2조원이 소요된다. 특히 북한과의 협상여하에 따라 북한 내 배전까지 우리가 담당할 경우 시장규모는 엄청나게 팽창할 것으로 업계는 전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건설, 대우건설, 두산중공업, 쌍용건설 등 대형 전기공사업체를 비롯해 1만여 개 전기공사 등록업체가 대북특수를 노리며 준비작업에 돌입했다. 현대, 두산 등은 이미 관련 사업팀에서 대북 전력 직공급에 따라 한전에서 발주할 수주물량의 특성 등을 파악하는 등 발빠르게 나서고 있다. 특히 정동영 통일부장관이 “북한이 6자회담에서 핵폐기를 선언함과 동시에 곧바로 대북전력공급을 위한 작업에 들어갈 것”이라고 밝혀 업계는 대북특수가 예상보다 빨리 가시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북한을 향한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이밖에도 변압기, 전력개폐장치, 보호배전장치 등을 공급하는 현대중공업, 효성, 일진중공업 등 대기업과 유호전기, 선도전기 등 중소업체 20여곳도 관련 특수에 대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중소 전기업체의 한 관계자는 “최근엔 별다른 전기공사가 없고 향후 예상 물량도 적어 대북사업이 가뭄 끝에 단비가 될 것 같다” 며 “이 달 말 열리는 6자회담에서 북한 핵문제가 확실히 가닥을 잡기만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