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서울 전셋값 상승세 한풀 꺾이나

■ 국토부, 2월 실거래가 발표<br>잠실 85㎡ 최고 5,000만원 등<br>강남권 큰 폭으로 떨어져<br>비강남서도 하락 단지 속출

끊임없이 오르던 강남권 아파트의 전셋값이 지난 2월을 기점으로 진정 국면에 들어선 것으로 보인다. 전셋값 상승세가 크게 둔화된 잠실 아파트 전경.


'서울 전셋값 상승세, 진정되나.' 전셋값 상승세의 진원지인 강남권 전세 실거래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하는 등 지난 2월 서울 전셋값이 전반적으로 하향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해양부가 24일 발표한 '2월 아파트 전월세 실거래가' 자료에 따르면 서울 송파구 잠실동 리센츠아파트 전용면적 85㎡ 규모의 24층 전세는 1월 4억5,000만~4억8,000만원에서 2월에는 4억3,000만원으로 최고 5,000만원 하락했다.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전용 77㎡ 5층은 1월 2억6,000만~2억8,000만원에서 2월 들어 2억4,000만원으로 서초구 반포 미도아파트 전용 85㎡ 10층은 2억9,000만원에서 2억5,000만원으로 각각 하락했다. 강남권 전셋값이 2월 들어 크게 하락한 것은 연초부터 몰려든 학군 수요가 마무리되며 가격이 안정을 찾은 것으로 분석된다. 강세를 이어가던 비강남권에서도 하락세를 보인 단지가 나타나고 있다. 도봉구 창동 북한산 아이파크 전용 85㎡ 전세는 2억2,000만~2억4,000만원에 거래돼 1월 2억5,000만원보다 최고 3,000만원 떨어졌다. 지난해 12월 2억3,000만~2억4,000만원 수준으로 되돌아왔다. 광진구 구의동 현대2차 전용 85㎡ 전세의 경우 1월 2억9,000만원에서 2월에는 2억2,000만~2억8,000만원으로 층ㆍ향ㆍ동에 따라 가격 편차가 심했다. 노원구 중계동 중계그린1차 전용 50㎡ 전세는 9,000만~1억1,000만원에 거래가 이뤄져 전달보다 최고 3,000만원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전셋값은 등락이 엇갈리며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성남 판교신도시 봇들마을 1단지 전용 84㎡ 전세는 1월 2억7,000만~3억원에 거래됐으나 2월에는 2억6,000만~2억8,000만원으로 떨어졌다. 반면 수원시 황골마을 주공1단지 전용 60㎡는 1월 전셋값이 1억~1억2,500만원에서 2월에는 1억2,000만~1억5,000만원으로 뛰었다. 한편 지난달 확정일자 신고가 접수된 전월세는 총 5만7,523건으로 1월 3만6,887건에 비해 56% 증가했다. 수도권이 3만6,735건으로 전월보다 65%, 지방은 2만788건으로 42% 늘었다. 계약시기별로는 지난해 11월이 2,434건, 12월 1만2,348건, 올해 1월 2만2,198건, 2월 2만543건 등이다. 거래 유형별로는 전세가 4만5,785건으로 전체의 80%, 월세(보증부 월세 포함)는 1만1,738건으로 20%를 차지했다.

관련기사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