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건설사 참여저조·지자체 비협조… "BTL사업 용두사미?"

정부, 6兆이상 계획 불구 실제집행 1兆원대 그칠듯…'경기회복 구원투수' 무색


정부가 실물경기 회복의 ‘구원투수’로 제시한 건설후임대(BTL) 민자사업이 건설사의 참여부재와 지자체의 비협조로 용두사미로 끝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하반기 경기회복의 원동력으로 민간투자사업에 큰 기대를 걸어왔던 정부로서는 당혹스런 대목이 아닐 수 없다. 24일 재정경제부ㆍ기획예산처 등에 따르면 오는 8월부터 정부가 추진할 BTL사업 규모는 6조1,969억원에 이르지만 실제 집행규모는 1조원대에 그칠 전망이다. 올 4월까지 무려 77조5,000억원의 예산을 조기 집행했음에도 불구, 1ㆍ4분기 성장률이 2.7%에 그친 점을 감안하면 말 그대로 ‘새 발의 피’인 셈이다. BTL사업이 이처럼 지지부진한 데는 사업의 특성상 개별사업 규모가 적어 대형 건설사를 끌어들일 유인요소가 부족한 것이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정부로서는 신용도가 높은 대형 건설사가 시공사로 참여, 금융권에서 프로젝트파이낸싱으로 자금을 조달하기를 바라는 입장이다. 그러나 BTL 단위사업은 그 규모가 50억~100억원대에 불과한 형편이다. 이로 인해 건설업체 입장에서는 BTL사업이 규모는 작고 사업장만 많은 ‘고비용-저이익’ 사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안정적인 중장기 이익(국고채금리+a)보다는 단기이익을 선호하는 건설업계의 관행상 사업참여는 더욱 저조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실제로 BTL사업으로 첫 고시된 충주비행장 군인아파트(200가구) 프로젝트 참여를 검토했던 대형 건설업체 A사는 사업장이 지방인데다 공사비 규모도 작아 비용과 품만 들어간다고 판단, 수주 자체를 포기했다. A사의 한 관계자는 “지방의 군인아파트ㆍ하수도 등 수익성이 눈에 보이지 않는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것 자체가 대형사 입장에서는 부담”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대형 건설업체인 B사는 BTL사업이 별다른 이득이 없다고 판단해 전담팀 자체를 해체했다. B사 임원은 “참여하자니 돈이 안되고 그렇다고 무시할 수도 없다”며 “기껏해야 재정사업 실적만 올릴 수 있을 뿐”이라고 설명했다. 여기에 BTL사업의 75% 가량을 차지하는 지자체 사업은 사업부지를 구하기 어려운데다 지역 군소 건설업체들의 반발이 심각해 사업자 선정에서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예산처 고위관계자는 “지자체들의 건설부지 확보실적이 별 볼일 없는데다 과거 재정사업을 도맡았던 지역 건설업자들의 반발이 워낙 커 대형 업체들이 사업참가를 꺼리고 있다”고 답답함을 토로했다. 과거 지자체 사업을 독점하다시피 한 군소 지역업자들의 입장에서 보면 정부가 추진하는 BTL사업이 오히려 규모가 크다는 것. 때문에 여러 루트를 통해 불만을 표출시키면서 불협화음이 커지고 있는 형편이다. 이처럼 문제가 복잡해지자 예산처는 최근 지역 내 이권다툼을 우려한 나머지 지자체를 대신해 KDI 공공투자관리센터로 하여금 직접 개별사업자를 선정해주는 방안까지 마련한 상태다. 김흥수 건설산업연구원 부원장은 “올해 BTL사업에서 단기적인 성과는 기대하기 어려울 것 같다“며 “무엇보다 민자사업의 원천적인 한계를 인식하지 못한 것이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