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SK글로벌, 총부실 5조미만?? 출자전환 유력

해외 부실 규모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면서 SK글로벌의 진로가 갈수록 안갯속이다. 법정관리에 대한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채무재조정을 통한 회생쪽에 무게가 실려 있다. 글로벌이 퇴출될 때 여타 계열사로 불똥이 튀고, 이로 인한 경제계의 파장이 심각한 수준에 이를 것이란 판단 때문이다. SK그룹 주변의 정황을 들여다보면 글로벌 본사의 진로를 판가름할 총부실 기준점은 5조원 안팎으로 관측된다. 총부실이 5조원을 넘으면 SK그룹과 채권단의 지원으로 회생시킬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선다는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총부실 5조원 미만 출자전환= 글로벌측은 본사가 해외법인에 대한 지급보증액 2조4,000억원외에 추가 부실이 1조원 안팎이라면 회생이 가능하다고 장담한다. 합산하면 총 부실은 4조원에 미치지 않는다. 정상화추진본부 관계자는 “1조원 안팎의 추가부실은 SK㈜나 SK텔레콤 입장에서도 법정관리보다 나을 것”이라고 말했다. 추가 부실이 모조리 지급보증 등 부채 형태로 본사 계정에 직접 영향을 미쳐도 총부채는 10조원을 넘지 않는다. 글로벌의 자본잠식 규모도 4조원을 넘지 않아 계속기업 가치가 청산가치를 웃돌 것으로 분석된다. 채권단 관계자도 “추가부실이 2조원을 넘지 않으면 그룹 계열사들의 자구와 채권단 출자전환 등으로 회생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채권단 내부에서는 본사에 직접 영향을 주는 추가부실이 2조5,000억원(총부실 5조원) 아래만 되면 다소 진통을 겪더라도 회생은 가능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총부실 5조원 이상 법정관리 가능성 커져= 총부실이 5조원을 넘어서면(추가부실이 2조5,000억원을 넘어서면) 상황은 복잡해진다. 물론 본사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부분을 골라내야 하지만, 채권단으로선 부실로 인한 자본잠식의 규모를 감내하기가 힘들 것으로 관측된다. 종합상사의 한 관계자는 “종합상사 특성상 해외법인 부실은 대부분 본사가 지급보증 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 이 같은 가능성을 뒷받침했다. 추가 부실이 2조5,000억원을 넘어설 경우 총부채도 10조원을 넘어설게 확실시된다. 외국계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총부실이 5조원을 넘으면 계열사들이 지원에 나서기 힘들고 채권단도 감당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영기기자, 손철기자 young@sed.co.kr>

관련기사



김영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