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현지 대책반 직접접촉에 기대

■정부 움직임<br>정치권, 구명엔 한마음 파병엔 딴목소리<br>이라크 미군, 피랍 알고도 통보안해 의혹

현지 대책반 직접접촉에 기대 ■정부 움직임정치권, 구명엔 한마음 파병엔 딴목소리이라크 미군, 피랍 알고도 통보안해 의혹 • 국제사회 다각적 노력 "최악상황 면할것" 기대 노무현 대통령이 22일 오전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오대근기자 정부는 이라크 무장단체에 의해 납치된 김선일씨가 아직까지 생존해 있는 것으로 보고 김씨의 석방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정부가 김씨가 아직 살아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이유는 무장단체가 제시한 최후통첩 시간이 이미 지났지만 그들로부터 추가 메시지가 나오지 않고 있기 때문. 이에 따라 정부는 22일 오전 요르단 암만에 도착한 현지대책반이 실질적인 활동에 들어가면 좀 더 구체적인 현지상황을 판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신봉길 외교부 공보관은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 “상황이 유동적이어서 이 문제에 대해 단정적으로 말할 수 없다”며 “여러 갈래로 보고를 받지만 정확도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며 생존여부에 대한 확인을 해주지 않았다. 한편 이라크 주둔 미군이 김씨의 피랍 사실을 지난 16~17일께 파악하고도 한국 정부에 알리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일부에서는 이번 사건으로 파병이 무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미군측이 사건발생 사실을 알리지 않은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정부, 김씨 석방 위해 총력=이날 오전 요르단 암만에 도착한 정부대책반은 본격적인 구조 활동에 들어갔다. 이에 따라 김씨 석방을 위한 정부의 노력은 한층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또 외교통상부와 함께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도 상황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NSC는 이날 이라크 현지 및 관련 부처로부터 시시각각 ‘입전’되는 각종 정보를 취합하고 분석하는 동시에 수시로 자체 대책회의를 열고 각종 상황에 따른 대응책 마련에 분주하게 움직였다. 특히 관저에 머물며 새벽에도 상황추이를 점검하고 있던 노무현 대통령에게 전화 및 자료 등을 통해 이번 피랍사건과 관련한 사항에 대해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시아협력대화(ACD) 외교장관회의에 참가하고 있는 아시아 22개국 외교 장관들도 이날 피랍된 김씨가 조기에 석방되도록 최대한 지지와 협조를 아끼지 않기로 했다. 외교통상부는 이날 오전 중국 산둥성 칭다오 하이티엔(海天)호텔에서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ACD에서 한ㆍ중ㆍ일 3국을 포함한 아시아 22개국 외교 장관들이 이 같은 내용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반 장관은 이날 회의에서 참가자들에게 이라크 내 한국인 피랍사건에 대해 설명하면서 “피랍자의 조속한 송환을 위해 회원국들이 한 목소리로 테러를 규탄해야 한다”며 국제사회의 지원을 요청했다. 이에 가와구치 요리코(川口順子) 일본외상을 비롯해 인도네시아ㆍ파키스탄ㆍ방글라데시 외교 장관들의 지지발언이 이어졌다. ◇ 미군, 피랍사실 왜 통보 안했나=김씨 납치단체와 석방교섭을 벌였던 가나무역 김춘호 사장은 이날 국내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김씨의 피랍사실 공개) 4~5일 전 미군쪽으로부터 김씨가 근무하던 미군 기지를 떠나 바그다드로 향한 뒤 소식이 없다는 통보를 받았다”고 말했다. 김씨는 그 후 6차례 석방교섭을 했으며 20일에는 미군과 이라크 모술에서 대책을 협의하기도 했다. 김씨의 말대로라면 미군은 김씨의 피랍사실을 사전에 인지하고 있었던 셈이다. 그러나 우리 정부는 아랍계방송 알 자지라에 김씨의 비디오가 공개되기 직전에야 주 카타르 대사관으로부터 보고를 받았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와 관련, 일부에서는 미군측이 김씨의 피랍사실이 한국의 추가파병 결정에 변수가 될 수 있다고 판단, 한국 통보를 유보하고 있었던 것 아니냐는 추측도 일고 있다. 김춘호 사장이 우리 정부에 피랍 사실을 알리지 않은 점도 역시 미심쩍은 대목이다. ◇정치권 ‘김씨 구출’ 한목소리속 파병철회 논란가열=여야는 ‘김선일씨를 살려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내면서도 이라크 파병에 대해선 각 정파마다 엇갈린 목소리를 내고 있다. 특히 여당 내에서도 의견 일치가 이뤄지지 않아 위기관리 능력에 대한 의구심마저 제기되고 있다. 열린우리당 일부 소장파와 민노당 등 파병 반대파들은 김씨 피랍사건을 계기로 23일 추가파병 중단결의안을 국회에 제출하기로 하는 등 파병 재검토 압박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추가파병 철회에 가장 적극적인 민노당은 추가파병 철회결의안을 국회에 제출하는 동시에 시민 10만명의 서명이 담긴 파병반대 청원안도 함께 내기로 했다. 임동석기자 freud@sed.co.kr 김민열기자 mykim@sed.co.kr 입력시간 : 2004-06-22 17:43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