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5천원·1천원 지폐 기능은 '거스름돈'

수명 1만원권의 절반도 못돼…신권교체 비율 60% 넘어

5천원과 1천원짜리 지폐의 사용수명이 1만원권 지폐의 절반에도 못미쳐 한국은행이 환수지폐 가운데 60% 이상을 신권으로 교체해 다시 시중에 내보내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처럼 5천원.1천원권 지폐의 수명이 짧은 것은 이들 지폐가 거스름돈 계산에 반복적으로 사용되면서 1만원권 지폐의 보조화폐로 전락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1만원권 지폐의 평균수명은 4년6개월인데 비해 5천원.1천원권의 수명은 각각 2년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올해 상반기중 한은이 환수한 지폐 가운데 손상 정도가 심해 신권으로 교체해 시중으로 내보낸 비율은 1만원권이 24%인데 반해 5천원권은 신권교체 비율이 77%에 달했으며 1천원권도 60%에 달했다. 이는 1천원권의 경우 환수되는 지폐 10장 가운데 6장을 매번 새 지폐로 바꿔야하고 5천원권은 7.7장을 신권으로 교체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처럼 5천원.1천원권의 유통수명이 상대적으로 짦고 신권교체 비율이 높은 것은 이들 지폐가 동전의 역할을 점차 대체하면서 빈번하게 소액거래나 거스름돈으로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은은 설명했다. 실제로 지난 7월 한달 한은의 화폐 신규발행액 가운데 1만원권이 차지하는 비중이 92.1%에 달했으며 1천원권은 4.4%, 5천원권은 3.5%에 불과했다. 이는 주로 사용되는 화폐가 1만원권 1종류에 국한된 반면 5천원권과 1천원권은 동전과 같은 역할을 하는 보조지폐로 기능이 바뀌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서울=연합뉴스) 박상현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