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2023년 5천만 돌파 '인구頂點'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2026년 초고령사회 진입… 평균수명 81.5세 노령화가 계속 진행돼 2019년에 본격적인 고령사회로 들어갈 것으로 예상됐다. 이에 따라 노령화사회에 대비한 각종 정책과 제도를 시급히 정비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23일 통계청이 발표한 '장래인구추계 결과'에 따르면 65세 이상 인구비중은 선진국에 비해 훨씬 빠르게 늘어나 현 7.2%에서 2019년에는 14%인 '고령사회'로, 2026년에는 20%를 넘는 '초고령사회'에 들어서고 2030년에는 23.1%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이같은 노령화로 생산가능인구의 노인부양부담이 현재 10명당 1명에서 2030년에는 3명당 1명으로 늘어난다. 지난해 7월1일 현재 4,700만명인 우리나라 인구는 자연증가율(출생률-사망률)이 0이 되는 2023년에 5,068만명으로 정점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후 감소세로 돌아서 2050년에는 현재보다 적은 4,433만명선까지 감소할 것으로 추산됐다. 그러나 북한의 인구증가세로 남북한을 합한 인구는 2050년까지도 1%미만의 증가세를 지속, 7,237만명선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다. 또 평균수명은 2030년에 81.5세, 2050년에 83세로 늘어나고 2024년부터 여자가 남자보다 많을 전망이다. 2004년에는 대학입학연령인구가 대학정원보다 적어지게 된다. 의료기술발달로 평균수명은 2000년 현재 75.9세(남 72.1,여 79.5)에서 2030년 81.5세(남 78.4, 여 84.8)세, 2050년 83세(남 80. 여 86.2)로 늘어나 2030년에는 장수국인 일본(82.5세), 이탈리아(81.3세)와 비슷한 수준이 될 전망이다. 수명연장과 출산율 감소로 현 21.1%인 유년인구(14세 미만) 비중은 2030년에는 12.4%로 급감하게 될 것으로 예상됐다. 현재 1,138만명인 학령인구는 2030년에 708만명으로 감소하고 2004년에는 대학입학 대상인 18세 인구가 63만명으로 입학정원(65만5천명)보다 적게 된다. 통계청은 대학입학연령인구가 2009∼2015년에 다시 소폭 증가한 뒤 2016년부터본격적으로 감소,2030년에는 현 대학입학정원의 73%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측했다. 결혼적령기(남 26∼30세.여자 24∼28세)의 성비 불균형은 남아선호로 계속 상승, 2011년 122.3으로 최고치에 도달해 최악의 '신부난'을 겪은 뒤 점차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이와 함께 학령인구성비도 2008년 112.4를 고비로 감소해 현재 남자 초등학생 100명중 12명이 여자짝이 없는 기현상도 완화될 전망이다. 전용호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