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신용정보 우량정보도 편입시켜야

신용정보에 우량정보도 편입시켜야 은행연합회 세미나…불량정보만 관리하면 대출적격자 계속 줄어 불량정보 위주로 관리되고 있는 신용정보관리에 우량정보도 편입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관심을 끌고 있다. 한국금융연구원 김병연 박사는 10일 오후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소비자신용정보 관리제도 세미나'에서 '우리나라와 같이 불량정보만을 신용정보 집중대상에 포함할 경우는 대출받을 수 있는 적격자가 크게 줄 수 밖에 없다'며 '신용정보 관리대상에 우량정보도 편입시켜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박사는 이어 '각 금융기관이 1천만원 이상의 여신정보에 한해 집중의무가 있으나 모든 여신정보를 집중해 여신상의 불이익을 받는 개인이 없도록 해야 한다'며 '불량정보도 과거 12개월간 원리금 상환실적이나 대출개시후 가장 심한 연체일 등을 포함시키는 등 기준과 내용을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거래계좌별 대출개시일, 대출한도, 대출거래로 인한 월간 납입액 등 우량정보를 새로 포함시켜 개인의 신용등급을 점수화 함으로써 추가여신의 결정자료로 삼을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함께 참가한 신한은행 이상인 변호사는 '국내에도 우량신용정보의 집중과 활용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며 '동시에 신용정보의 유출을 막기 위해 정보 취급자, 수집.이용자에 대한 세부지침 등 프라이버시 보호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래신용정보 고상엽 이사도 '우량신용정보와 불량신용정보의 적절한 이용으로 정확한 소비자 신용평가를 통한 신용위험관리는 물론 소비자신용정보를 활용한 다양한 응용서비스도 개발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한승호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