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올림푸스 끝내 상장폐지 수순 밟나

TSE, 감리종목 지정… 결산보고서 제출 않을땐 현실로

지난 20여 년간 1,000억엔(1조4,400억원)이 넘는 손실을 회계 조작으로 숨겨온 올림푸스가 끝내 상장 폐지 수순을 밟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도쿄증권거래소(TSE)는 올림푸스를 감리종목으로 지정했다고 10일 발표했다. 이는 올림푸스가 상장폐지 될 수 있어 투자에 유의해야 한다는 의미다. 니혼게이자이 등 외신은 올림푸스가 다음달 14일까지 올 3ㆍ4분기 결산보고서를 제출하지 않을 경우 상장폐지가 현실화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일본 금융상품거래법에 따르면 올림푸스는 3ㆍ4분기가 끝나는 9월 말 이후 45일 이내인 11월14일까지 감사를 거친 분기보고서를 제출해야 하지만 제3자위원회가 회계조작에 대한 실사를 벌이고 있어 이 결과가 나올 때까지 보고서 발표를 연기하기로 했다. 위원회 조사가 끝나는 대로 TSE 역시 본격적인 상장폐지 심사를 벌일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올림푸스의 주가는 연일 기록적인 하락 행진을 거듭하고 있다. 10월 초 2,500엔 선이던 주가는 11일 현재 480엔 선으로 폭락해 시가 총액의 80%가 증발했다. 한편 회사 안팎에서는 회계 부정을 폭로한 마이클 우드포드 전 최고경영자(CEO)가 복귀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해리스 어소시에이트 등 올림푸스 대주주 사이에서 우드포드만이 유일한 해결책이라는 힘을 얻고 있다고 11일 보도했다. 올림푸스 주식 4%를 보유하고 있는 배일리 기포드의 한 관계자는 "지금 올림푸스에는 빈틈 없는 청소 작업이 요구된다"며 "우드포드가 해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