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투자 축소조정「방향전환」모색(IMF구제금융 폭풍/재계 생존전략)

◎자동차·철강·반도체·조선 등 특히 민감/강도 높은 구조조정·인력감축 불보듯대기업 연쇄도산, 환율급등에 이은 IMF(국제통화기금) 구제금융 신청으로 기업경영에 한번도 경험하지 못한 변혁의 소용돌이가 일고 있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재계는 장·단기 경영전략을 새로 짜고 강도높은 구조조정과 인력감축 등 경영패턴의 근본적인 방향전환을 해야 할 형편이다. 「세기말의 대변혁」으로까지 일컬어지는 구제금융 시대를 맞아 재계가 마련하고 있는 생존전략을 긴급점검한다.<편집자주> 『「주식회사 한국경제」가 IMF에 부도유예를 신청한 것이다.』 IMF 구제금융에 대한 재계의 인식이다. 금융지원을 받는 대신 IMF가 재정·경상적자 축소·물가안정 등 기업경영에 애로가 될 각종 요구조건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따른 것이다. 이 가운데서도 구제금융 신청의 영향을 크게 받는 투자분야는 근본적인 방향수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 주요그룹들을 바싹 긴장시키고 있다. IMF의 권고조치에 따라 국내 금융기관의 돈줄이 묶일 경우 기업들은 대형사업에 투입할 자금을 구하기 어렵게 되는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상황. 특히 현대·삼성·동부등에서 대규모 투자가 추진되고 있는 철강, 자동차, 반도체를 비롯 선진국들이 세계적 공급과잉의 「주범」으로 지적하면서 각종 압력을 행사해온 자동차, 철강, 조선, 석유화학 등 주요업종에서는 투자, 수주등의 각종 규제로 직접적인 타격을 입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재계 관계자들은 『IMF가 기업들의 모든 투자에 관여하지는 않겠지만 금융권의 대출제한 등 거시지표의 조정으로 차입을 통한 대규모 투자에 제동을 걸 것이 분명하다』고 보고 있다. 또 국가신인도 하락으로 외자도입도 어려우며, 구한다 해도 높은 금리를 부담, 경쟁력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 내년도 투자계획을 올해수준에서 동결하거나 축소키로 했던 삼성, 현대, LG, 대우 등 주요그룹들은 구제금융신청을 계기로 신규사업의 자제, 주요 설비투자 계획의 축소조정 등으로 이를 추가감축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특히 현대의 제철사업과 동부의 반도체사업 등 대규모 투자계획에 차질이 예상된다. 현대는 5조4천6백억원을 들여 경남 하동의 갈사만간척지에 연산 6백만톤 규모의 일관제철소 건설을 추진중인데 그동안 정부의 인허가 여부가 최대문제에서 이제는 자금조달이 가장 큰 과제로 떠올랐다. 현대가 제철소를 짓기 위해서는 정부로 부터 공단개발 보조금과 인프라지원 등을 받아야 하는데 IMF가 이를 용인할지 미지수다. 이와관련, 현대는 『정부와 IMF의 입장을 면밀히 파악한 뒤 최종 사업계획을 확정한다』는 우려입장을 밝혔다. 동부도 마찬가지. 동부는 1조9천억원을 투자, 충북 음성에 반도체공장을 짓고 오는 99년부터 64메가D램·2백56메가D램의 생산에 들어갈 예정인데 자체자금 6천억원을 제외한 1조3천억원을 차입해야 한다. 미국과 이해가 가장 첨예하게 대립되어 있는 자동차부문도 불투명하기는 마찬가지. 법정관리를 통한 공기업가 추진되고 있는 기아자동차 문제도 도마에 오를 전망이다. 공기업화는 정부의 비용증가를 뜻하고 IMF는 긴축재정을 주요기조로 하고 있어 정부가 기아의 공기업화 정책에 제동을 걸 가능성도 있다는 분석이다. 또 해외설비 확충에 대한 금융권의 자금지원을 비롯 해외자금 조달에서 적잖은 견제가 예상되고 있다. 조선업계는 IMF가 설비 가동축소 및 설비투자 대출자금회수, 국적취득조건부 나용선 금융규모 축소 등을 요구할 가능성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시설확장에 대해 금융제제를 가할 경우 1조원을 투자해 조선소를 신설한 한나중공업은 물론 2천∼3천억원을 투자해 시설을 확장한 현대, 삼성중공업은 치명적인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또 반도체와 석유화학 설비투자는 설비의 유지·보수를 위한 기본투자 외에 전면 동결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민병호·한상복 기자>

관련기사



한상복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