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빅딜1호 한국철차 경영 삐걱

현금·우량자산 대체 요구첫번째 빅딜로 탄생한 한국철도차량㈜이 무리한 통합으로 인해 출범 6개월 만에 삐걱거리고 있다. 빅딜에 참여했던 현대정공 등 3개사가 출자한 현물자산에 대해 채권단이 자산가치를 인정하지 않겠다며 한국철도차량에 대한 금융지원을 거부, 경영정상화가 차질을 빚고 있기 때문이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철도차량에 지분을 출자한 현대정공, 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 등 3사는 최근 주거래은행인 외환은행 등 채권단으로부터 상주공장, 영업권 등 1,285억원 상당의 출자자산을 회수해가라는 통보를 받았다. 채권단은 3사가 이를 분담, 회수하고 대신 이에 해당하는 만큼의 현금 또는 우량자산을 내놓도록 요구하고 있다. 회수통보를 받은 자산은 한진중공업이 출자한 5만평 규모의 상주공장(평가액 322억원) 현대정공의 영업권(〃 350억원) 통합전 수주물량의 예상손실분(〃 612억원) 등 총 1,285억원이다. 특히 이같은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통합법인 채무에 대한 출자전환, 신규 금융지원 등을 백지화하겠다는 강경한 입장이다. 이처럼 통합법인을 놓고 기존 3사와 채권단이 힘겨루기를 벌이는 것은 이들 3개사가 빅딜 협상을 부실자산 처리 방편으로 교묘히 이용했기 때문이다. 당초 이들 3사는 현대와 대우가 지분 각 40%씩(800억원), 한진중공업이 20%(400억원)를 출자, 지난해 7월1일 통합법인을 출범시켰다. 하지만 출자자산의 평가를 자신들이 정한 3개 회계법인의 컨소시엄에 맡겨 후한 평가가 나오도록 했다는 것이 채권단의 주장이다. 예를 들어 800억원을 출자하는 현대정공의 경우 무려 350억원을 영업권으로 인정받았고 한진은 상당부분이 나대지인 상주공장을 550억원으로 평가받아 통합법인의 자산으로 편입시켰다. 한진 관계자는 『빅딜 성사를 재촉받고 있던 당시, DCF(미래자산가치의 현재가치 환산)방식을 도입할 수밖에 없었던 불가피한 측면이 있었다』며 『법인이 출범한 만큼 빅딜을 원점으로 되돌리기보다는 우선 경영정상화를 시킨 후 손익을 분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채권단은 3사의 이같은 자산 과잉 평가가 오히려 구조조정의 취지를 무시한 것이라며 업계의 주장을 결코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이어서 원만한 타결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문주용기자JYMOON@SED.CO.KR

관련기사



문주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