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잇단 거품 붕괴 경보에 신흥국 갈수록 당혹

인도네시아 전격 금리인상, 이틀째 깜짝쇼…채권 발행 급감, 월가 “채권시장 폰지화” 경고

선진국발(發) 거품 폭발 경보가 강도를 높이며 꼬리를 물면서 신흥국과 국제 금융시장이 당혹하며 흔들리는 모습이 갈수록 완연해지고 있다.

인도네시아 중앙은행은 13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6.0%로 0.25%포인트 전격 인상해 시장을 놀라게 했다. 전날도 중앙은행은 콜금리를 4.25%로 0.25%포인트 올렸으나 시장을 변화시키지는 못했다. 이 같은 잇단 ‘깜짝쇼’에 대해 자금 이탈을 막기 위해 어쩔 수 없는 ‘극약 처방’이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런 가운데 골드만삭스의 로이드 블랭크페인 최고경영자(CEO)는 선진국의 ‘출구전략’에 따른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토론을 제의했다. 그는 “그렇게라도 하면 시장이 놀라는 것을 줄일 수 있을지 모른다”고 강조했다.


월가 거물인 블랭크페인 CEO의 이례적 제의는 “중앙은행에 의해 채권시장이 폰지 게임장으로 전락했다”는 경고가 월가의 또 다른 큰 손에 의해 나온 것과 때를 같이했다.

관련기사



마켓워치에 따르면 구겐하임 파트너스의 스콧 미너드 글로벌 투자책임자(CIO)는 지난 12일 공개된 보고서에서 “주식과 채권시장이 6개월 안에 급전직하할 수 있다”면서 이같이 경고했다. 미너드는 1년 전에도 ‘채권시장 폰지화’를 경고한 바 있다.

이와 관련 파이낸셜타임스(FT)는 채권시장이 크게 흔들리면서 차입도 위축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FT가 인용한 딜로직 집계에 의하면 지난 12일 현재 미국 투자등급 기업의 주간 채권 발행 규모는 32억달러로 올 들어 평균치인 232억달러에 비해 많이 감소했다.

FT는 애플, 보다폰 및 페트로브라스를 비롯한 전세계 주요 대기업이 그간 채권 수익률이 기록적으로 떨어진 가운데 대규모로 차입했음을 상기시키면서 수익률 상승은 이들이 채무부담 가중이란 또 다른 짐을 져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이 오는 18~19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개최하는 점을 상기시키면서 시장 불안이 그전까지는 걷히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