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스톡&스토리] 6·29선언과 대선랠리

1987년 대선 당시 노태우 민정당 후보의 6·29 선언을 활용한 선거 포스터.


대통령 선거는 증시의 주요 변수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누가 대통령이 되는가'에 따라 5년간 국가의 정책 방향이 달라지기 때문. 국가 정책이 기업의 경영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대선 기간이 가까워지고 유력 후보의 윤곽이 드러나는 데 따라 증시 방향성이 바뀐다.

1987년 대선이 대표적 사례다. 당시 증시는 국가 최대 이벤트인 대선을 앞두고도 지지부진한 흐름을 이어갔다. 그러던 증시가 당시 여당 후보의 폭탄 선언에 다시 반등세로 돌아섰다. 1987년 6월29일 노태우 민정당 후보의 '6ㆍ29 선언'이 그것. 집권여당 후보였던 그는 서울대 학생인 박종철군과 연세대생 이한열군의 사망으로 촉발된 6월 항쟁이 최악의 상황으로 흐르자 "민주화 요구와 직선제 개헌을 받아들인다"는 내용의 시국 수습책을 내놨다. 여론 반전을 노린 이벤트로 증시 분위기는 이른바 '대선 랠리'의 도화선이 됐다. 이후 집권여당의 승리와 3저(抵) 호황, 1988년 올림픽 개최 등이 맞물리면서 증시는 1989년 4월 꿈의 1,000포인트 돌파에 이른다.


하지만 기쁨도 잠시, 노 대통령 취임 2년차에 들어서자 증시는 급락세로 돌아섰다. 그 결과 노 대통령 취임 당시 650 선 중반이었던 증시는 5년간 단 2% 상승이라는 초라한 성적표만 남겼다. 5년간 물가상승률을 감안해도 수익률은 오히려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관련기사



대선이 증시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이벤트라는 데는 누구도 이견이 없다. 하지만 단지 대선이 있다는 사실만으로 증시가 꾸준히 상승 곡선을 그리기는 불가능하다. 새롭게 시작하는 정권이 국가 경제의 불확실성을 없애고 성장 비전을 보여줄 정책을 내놔야 증시도 상승 곡선으로 화답한다.

박근혜 정부 출범 첫해, 미국과 중국 등에서 촉발된 악재에 국내 증시가 흔들리고 있다. 미국 양적완화 축소와 중국 경기 침체 우려 등 불확실성 증가가 외국인 자금 이탈로, 또 이는 증시 추락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거듭되고 있다. 불확실성을 한 방에 날려줄 무언가가 필요한 때다. 과거 역사를 보면 정책에 실패한 정권 시기에 증시가 오른 사례는 극히 드물었다. 3저에 88올림픽까지 호재가 부각됐던 노태우 정권 시절, 증시가 침묵한 사례가 이를 증명한다. 올해 첫 항해를 시작한 박근혜 정부에 요구되는 것 가운데 하나가 뚜렷한 정책에 따른 증시 불확실성 제거가 아닐까. 선택은 자유다. 하지만 정부가 성공적 정책을 시행하는가에 따른 결과는 아마도 하늘과 땅 차이일 것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