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남북한 "6자회담 빨리 열자"

印尼서 첫 비공식·비핵화회담<br>외교장관회담도 성사 가능성

남북한 "6자회담 빨리 열자" 印尼서 첫 비공식·비핵화회담… 외교장관회담도 성사 가능성 이현호기자 hhlee@sed.co.kr 유병온기자 rocinante@sed.co.kr

남북한 6자회담 수석대표가 22일 2년7개월 만에 다시 얼굴을 맞대고 테이블에 앉았다. 또 23일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과 박의춘 북한 외무상 간 비공식 회담을 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남북 6자회담 수석대표인 위성락 외교통상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리용호 북한 외무성 부상은 22일 오후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비공식 회동을 했다. 지난 2008년 12월 중국 베이징 6자회담 수석대표 회동 이후 2년7개월 만으로 6자회담이 열리지 않는 기간에 남북한 간 열리는 최초의 비핵화 회담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리 부상은 이날 회담한 뒤 내외신 기자들을 만나 "6자회담을 하루 빨리 재개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데 합의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에 9ㆍ19 공동성명을 이행하기 위한 6자회담을 하루 빨리 재개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남측 단장(위성락 본부장)을 만났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회담에서는 9ㆍ19 공동성명을 확고히 이행하기 위한 의지를 확인했다"면서 "전 조선반도의 비핵화를 위한 용의들이 표명됐다"고 설명했다. 리 부상은 또 "회담은 솔직하고 진지한 분위기에서 진행됐다"고 전했다. 뒤이어 나온 위 본부장도 "회담은 생산적이고 유익한 대화였다"면서 "비핵화 협상 과정에서 계속 노력해나가기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이번 회동이 주목되는 것은 '남북 비핵화 회담→북미 대화→6자회담' 재개로 이어지는 3단계 접근방안의 첫 단계인 남북 비핵화 회담이 비공식적으로 성사되는 점. 따라서 교착국면에 놓인 6자회담 재개 흐름에 돌파구를 마련할 것으로 예상된다. 두 사람의 회동에는 남측에서 조현동 외교부 북핵외교기획단장과 북핵 실무자, 북측에서 최선희 외무성 미국 부국장과 실무자가 배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번 회동을 계기로 천안함ㆍ연평도 사태 이후 경색 국면에 들어간 남북관계가 분위기 전환을 위한 중대한 모멘텀을 마련할지 주목된다. 이와 관련, 남과 북은 23일 ARF 본회의장에서 김성환 외교부 장관과 박 외상이 비공식 회동하는 방안도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회동이 성사되면 현 정부 들어 남북 외교수장 간 첫 회동으로 기록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처럼 ARF 회의를 계기로 남북 간 고위급 연쇄회동이 성사될 경우 현재 교착상태를 보이고 있는 6자회담 재개는 물론 경색된 남북관계가 변화의 바람이라는 강력한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 지금 북한에선 무슨 일이… ] 화보 보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