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클린턴 "北 태도변화 없으면…" 강력 메시지

"노선변화 없으면 직접대화·6자회담 안 돼"… 中에도 특별한 역할 촉구<br>한국정부 "美日도 '북 추가도발 땐 군사대응'에 이의 제기 안 했다"

미국이 북한의 태도 변화가 없으면 북한과 직접대화를 하지 않고 6자회담도 재개하지 않겠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보냈다. 클린턴 장관은 6일 워싱턴D.C.의 국무부 청사에서 열린 한·미·일 외무장관회담 후 기자들에게 북한의 연평도 포격도발 이후 중국 측이 내놓은 6자회담 제안에 대해 "6자회담 재개에 앞서 북한이 한국과의 관계를 개선하고 도발적인 행동을 중단해야만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북한의 노선 변화가 있기 전까지는 북한과의 직접적인 대화가 이뤄져서는 안된다는 점에 3국 외무장관이 뜻을 같이 했다고 밝혔다. 클린턴 장관은 특히 중국에 적절한 대북 영향력을 행사하라고 강력히 촉구했다. 그는 북한의 강한 유대관계를 감안할 때 중국은 북한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특별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중국이 역내 외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기대하고 있다. 중국은 북한과 특수한 관계에 있다. 우리는 중국이 북한에 도발적 행동을 중지하겠다는 진지한 태도를 보여야 하며, 그것을 위한 여러 방법들이 있다는 확고하고 분명한 메시지를 전하는데 우리와 협력하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클린턴 장관은 중국이 6자 긴급협의를 제안한 데 대해서는 "북한은 행동의 변화를 나타내는 구체적 조치를 취해야 한다"며 "6자회담은 국제적 의무를 준수해야 하는 북한의 행동의 대체물이 될 수 없다"고 말했다. 북한의 행동변화가 없으면 6자회담을 재개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밝힌 셈이다. 이와 관련해 그는 "북한은 도발적 행동을 중지하겠다는 진지한 태도를 보여야 하며, 그들이 한 약속을 지킴으로써 대화 테이블에 돌아오겠다는 준비가 돼 있음을 보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클린턴 장관은 북한에 대해 도발적인 행동을 그만두도록 분명한 메시지를 보내는데 있어서 중국이 한·미·일 3국과 협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미국은 6일 북한의 연평도 포격도발에 맞서 확고한 한미동맹을 재확인하기 위해 마이크 멀린 합참의장을 한국으로 급파한데 이어 내주중 고위급 방문단도 파견할 방침이다. 클린턴 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내주중 오늘 회담에 이은 후속조치를 위해 고위급 대표단을 아시아로 보낼 예정"이라고 말했다. 미 행정부 고위급 대표단은 한국과 일본 등을 방문해 카운트파트들과 함께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한 구체적 조치들을 협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정부는 이날 회담에서 북한이 추가 도발을 감행할 경우 한국 정부가 군사적으로 강력하게 대응하겠다는 방침을 전했고, 미국과 일본은 이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고위 당국자는 이날 워싱턴 특파원들과 만나 "북한의 추가도발이 있으면 응분의 대가를 치러야 한다는 데 이견이 있을 수 없다"며 "미국과 일본은 군사적 대응 부분은 한국의 입장을 전적으로 존중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