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65세 이상 노인 60%, 3개 이상 만성질환 보유

65세 이상 고령자 10명 중 6명은 3개 이상의 만성질환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따.

8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효과적인 만성질환 관리방안 연구’ 보고서에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11년도 환자 표본자료를 활용해 이같이 분석했다.


이에 따르면 65세 이상 고령자 가운데 만성질환이 없는 경우는 전체의 4.7%였으며, 1개 보유 14.1%, 2개 보유 20.7%, 3개 이상 보유한 경우는 60.5%였다.

평균적으로는 1인당 3.34개의 만성질환을 보유하고 있었다.

만성질환은 완벽하게 회복되기 어렵거나 상당 기간 지속되는 질환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번 연구에는 고혈압, 당뇨병, 골다공증, 전립선 비대증 등 46개 질환을 대상으로 했다.


이 가운데 가장 많은 노인이 갖고 있는 만성질환은 고혈압으로 65세 노인의 절반 가까운 48.8%가 고혈압 환자였다.

관련기사



이어 만성위염(38.5%), 만성 요통(36.0%), 관절증(25.2%), 알레르기(22.3%), 당뇨병(19.7%) 등도 빈번한 질환이었다.

이들 만성질환 가운데 고령에 따른 기능 저하 증상인 위염, 시력 감퇴, 비만, 청각 손실 등을 제외할 경우 가장 흔한 복합만성질환의 구성은 고혈압, 만성요통, 관절증을 동시에 갖고 있는 경우로 전체의 19%를 차지했다.

이어 ‘고혈압+만성요통+당뇨병’(5.9%), ‘고혈압+관절증+당뇨병’(3.0%), ‘고혈압+만성요통+천식/만성폐쇄성폐질환’(3.0%) 구성 순으로 뒤를 이었다.

3개 이상의 만성질환을 보유한 노인의 연평균 외래 진료비는 32만2천462원으로 이 가운데 본인 부담은 7만1천945원이었다. 만성질환을 갖고 있지 않은 노인의 연평균 본인 부담 비용 1만4천225원보다 5배 이상 많은 금액이다.

연구를 주도한 정영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보고서에서 “최근 고령화로 만성질환이 증가하면서 복합 만성질환 유병과 관리에 대한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 연구위원은 “단일질환, 단일공급자 중심의 분절적인 만성질환 관리모형에서 연속적·통합적·환자중심적인 접근으로 변화해야 할 것”이라며 “무엇보다 환자들이 지속적인 자가관리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