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일본 자본 돈벌이 혈안… 한국 서민금융 삼켜

대부업체 이어 저축은행까지 줄줄이 잠식<br>대부업 고리대출 줄인다면서 다른업체 인수해 채권 추심<br>'꼼수' 영업으로 부작용 심화

친애저축은행 대주주인 J트러스트는 최근 대부업체 추가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 친애를 인수하기 전 네오라인크레디트대부를 갖고 있었는데 '네오' 자회사로 600억원 규모의 베르넷크레디트대부를 사들이려는 것이다. J트러스트는 친애를 살 때 고금리 대출을 줄이겠다고 했고 실제로 네오는 신규 대출을 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또 다른 대부업체를 인수해 영업확대를 꾀하고 있는 셈이다.

한일관계 악화 속에서도 일본 자본이 국내 금융업을 급속히 파고드는 가운데 이들의 양면성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높다. 기존 대부업체 대출을 줄인다며 신규 대부업체를 인수하고 채권추심에 공을 들이는 전형적인 일본식 '꼼수' 영업 탓이다. 대부업과 저축은행 등 서민금융시장 주도권이 일본으로 넘어가면서 이에 따른 부작용이 커지고 있다는 얘기다.

금융감독당국의 한 고위관계자는 24일 "일본계 자금이 들어오면서 부실 저축은행이나 부실채권을 사들여 처리해주는 장점이 있다"면서도 "일부 일본계 회사는 일본에서조차 고강도 채권추심으로 악명이 높고 무엇보다 서민금융시장의 주도권 자체가 일본계로 넘어가고 있어 이를 주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국내 금융시장, 특히 서민금융은 일본판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올 들어 일본 다이요생명이 동양증권과 동양생명에 투자한 데 이어 이달 초에는 일본계 오릭스저축은행이 스마일저축은행을 인수했다. 저축은행 업계의 공룡인 SBI는 4개 계열사를 합치면 업계 1위다.

관련기사



대부업은 일본계가 장악했다. 완전히 일본계인 업체만 산와머니와 스타크레디트대부ㆍ조이크레디트대부금융 등이 있다. 재일교포가 대주주인 러시앤캐시까지 더하면 국내 대부업 대출의 약 45%를 점하고 있다. 지난해 말 현재 국내 등록대부업체 수는 1만895개로 대출잔액은 8조6,904억원에 달한다. SC은행 계열사 매각과 우리금융 민영화 때도 빠짐없이 등장하는 게 J트러스트나 오릭스 같은 일본계다.

일본계는 본국에서 저리로 돈을 들여와 우리나라에서 최고 연 39%까지 돈장사를 한다. 친애 같은 곳은 채권추심 위주로 영업을 한다는 문제로 당국의 검사를 받았다.

김영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