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애프터리빙' 등 미분양 마케팅 제동

집단중도금대출 피해 우려<br>금감원, 불완전판매 집중점검

금융감독 당국이 건설사들의 전세분양 마케팅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3일 금융권 및 건설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최근 '애프터리빙' 등 전세분양 방식을 통해 미분양 아파트를 해소하는 건설업체의 미분양 마케팅에 대해 집단중도금대출 피해가 심각해질 수 있다며 은행을 대상으로 집단중도금대출의 불완전판매 여부를 집중 점검했다.


이와 함께 시중은행에 미분양 집단중도금대출 자제를 요청한 데 이어 상담원이 전화로 고객에게 대출상품 내용을 자세히 알려주는 '해피콜'을 시행하라고 지도했다.

관련기사



금감원 관계자는 "미분양 아파트 집단중도금대출과 관련해 소비자 피해 우려가 있어 금융업체들이 고객에게 위험성을 충분히 설명하도록 했다"며 "고객 공지 의무를 소홀히 해 문제가 생길 경우 금융사도 책임이 있다"고 밝혔다.

금융감독 당국의 이런 움직임은 애프터리빙제로 미분양을 털어낸 건설사가 부도 날 경우 자칫 '부동산판 제2의 동양 사태'가 될 수 있어 선제적으로 대응한 것으로 분석된다. 금융권에서는 올 상반기 기준 애프터리빙제도 등으로 5,000여가구에 약 8,000억원이 대출된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애프터리빙이 소비자에게 피해를 줄 수도 있다는 점을 사전에 알려 불의의 피해자를 막고자 선제적으로 조치했다"고 설명했다.


박성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