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대구·울산·포항 연계 경북형 과학벨트 구축"

경북도 "5년내 노벨상 배출" 중장기 과학발전 청사진 마련

"경북형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모델과 세계 유일의 3대 가속기융합클러스터 구축 등을 통해 5년 내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다" 경북도가 오는 2020년까지 대구·울산·포항을 연계한 경북형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모델 마련 등을 담은 중장기 과학발전 청사진을 마련했다. 경북도는 19일 대구의 한 호텔에서 '경북과학기술 대토론회'를 개최, 21세기 세계시장을 선도할 경북의 과학기술 2020 비전 및 10대 브랜드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토론회에는 국가과학기술정책의 최고 의사결정권자와 지역전문가 등 150여명이 참여했다. 기조연설에서 이준승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장은 한국이 세계시장을 선도할 창조적 혁신과 융합의 중요성을, 김용민 포스텍 총장은 원천기술개발 역량 확보를 위한 대학의 역할과 산학연계 지역발전 방안을 각각 발표했다. 또 피터 풀데 아태이론물리센터 소장은 막스플랑크연구소 유치를 통한 경북형 과학벨트 성공 가능성을 발표했다. 이어 토론회에서는 과학경북 2020비전인 '글로벌 리딩 과학선도 지자체' 달성을 위한 세계적 수준의 과학기술 역량 확보와 창의적 혁신과학 문화 확산 등 2대 목표가 제시됐다. 이같은 비전과 목표 달성 및 노벨상 최초 수상을 위한 10대 핵심 전략프로젝트도 함께 발표됐다. 10대 프로젝트에는 경북형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모델 마련을 포함해 세계 유일의 3대 가속기를 활용한 가속기융합클러스터 구축, 첨단신소재 R&BD 벨트 구축, 세계 4위 경쟁력을 지닌 나노기술의 산업화 등이 포함됐다. 또 노벨상 조기 수상을 위한 글로벌 과학 커뮤니티 구축, 동해권 Uro(유비쿼터스와 로봇의 합성어) 프로젝트, 6T명품인재양성, 물 산업 선점을 위한 차세대 워터 사이언스 육성 등도 포함됐다. 도는 앞으로 국내외 과학기술정책 전문기관에 용역을 의뢰해 이번에 발표한 비전과 프로젝트를 구체화해 나갈 방침이다.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과학기술정책은 중앙정부의 전유물이 아니며 지방과 중앙의 협력을 필요로 하는 사안이 됐다"며 "기초원천기술을 비즈니스로 연결하기 위해 정부, 산학연이 함께 풀어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