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美 외채부담 가중

금리상승으로 상환액 90년만에 해외투자 수익 초과


미국이 금리상승 여파로 대외 부채 상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재정ㆍ무역적자를 메우기 위해 세계 각국에 판 국채의 금리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이 같은 상황이 계속되면 미국의 소비가 큰 타격을 받을 뿐 아니라 미국의 해외 투자 패턴에도 변화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25일(현지시간) 월스트리저널(WSJ)이 미 상무부 자료를 인용해 보도한데 따르면 지속적인 금리 인상 여파로 지난 2ㆍ4분기 미국의 해외채무 상환부담액이 해외투자 수익금보다 26억달러가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채무 상환 부담이 해외 투자 수익을 웃돌기는 90년 만에 처음이다. 이는 지난 2ㆍ4분기 중 미국인 가구 당 22달러를 해외에 갚은 것이다. 1년 전에는 가구 당 평균 31달러를 벌어들였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해외부채가 경제규모에 비해 아직은 심각하지 않지만, 부채 증가가 지금처럼 지속될 경우 미국인들은 허리 띠를 졸라매야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미국의 총 해외 부채는 지난해말 현재 13조6,000억달러로 이중 미국이 외국에서 받을 돈 11조1000억달러를 제외하면 순 채무는 2조5000억달러에 이른다. 미국이 천문학적인 외채를 계속 떠안고 있을 수 있었던 것은 금리가 낮아 외채 보유 부담이 적었기 때문이다. 미국은 낮은 금리로 외국에서 조달한 달러를 해외 시장에 투자해 높은 수익을 올렸고 소비자들도 쉽게 돈을 빌려 소비패턴을 유지해왔다. 국제경제연구소(IIE)의 캐서린 만 연구원은 "미국은 그간 마치 마스터카드를 마구 쓰고 결재를 안 하는 사람 같았다"며 "미국의 외채 이자 부담은 점점 더 커지고 있고 미국은 더 이상 이런 상황을 버틸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골드만 삭스의 짐 오닐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싸게 돈을 빌려 해외에 투자해 수익을 남겨온 미국의 모습은 '세계 최대의 헤지펀드'와 같다"며 "미국은 그 동안 행운아였다"고 평가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