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靑도 총선서 '안정 과반' 자신

"170석이상도 가능"…총선후 개혁작업 가속할듯

청와대는 4ㆍ9 총선 결과 여당인 한나라당이 전체 의석 중 안정적 과반의석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자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또 총선 이후 선거운동 기간 논란을 의식해 미뤄뒀던 공기업민영화, 특별행정기구 개편 등 새 정부의 개혁작업을 가속화한다는 계획이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총선을 하루 앞둔 8일 “전국 245개 지역구 중 한나라당이 우세한 지역은 120여곳 안팎이고 50여곳은 경합 중이며 70여곳은 열세지역이다”며 “경합지역 중 절반만 승리하면 전체적으로 안정적 과반확보가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안정적 과반은 전체 상임위에서 다수를 차지할 수 있는 168석 이상을 의미하며 이 관계자의 분석대로라면 지역구에서 145개 내외의 의석을 차지하고 비례대표까지 포함할 경우 170석 이상을 얻는 것도 가능하다는 계산이다. 청와대는 내부적으로 최악의 경우라도 160석 초반까지는 무난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청와대 측은 새 정부 출범 초 인선ㆍ공천파동으로 이반됐던 민심이 이달 들어 한나라당 쪽으로 급속히 재결집되고 있으며 ‘대안부재론’과 새 정부를 위한 ‘안정론’이 총선 막판으로 갈수록 확산되고 있다는 분석을 하고 있다. 청와대는 이 같은 전망을 토대로 총선후 새 정부의 국정과제 후속작업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도 이날 국무회의에서 “시급한 민생개혁법안들을 총선이 끝난 후인 오는 5월 임시국회에서 처리해야 한다”고 내각에 주문했다. 새 정부 출범 이후 1개월15일 동안 계속된 총선정국에서 미뤄왔던 ▦공기업 민명화 ▦특별행정기구개편 ▦서비스산업 활성화 ▦규제개혁 ▦한반도 대운하 등 주요 국책 과제들에 대한 구체적인 로드맵 마련과 입법화 작업을 총선 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총선 후에도 18대 국회가 구성되는 6월까지의 공백기간 동안에도 관련 법안들을 처리하면서 입법을 위한 사전정지작업을 병행한다는 방침이다. 내부적으로는 논란이 되는 각종 법령들의 경우 18대 국회가 구성되는 6월에 본격화하고 야권과 쟁점이 없는 민생 관련 법안들은 5월 임시국회에서 처리한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