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일반

[에셋 플러스] 증권사 추천주, 이녹스

디지타이저 소재 인기몰이로 하반기 훨훨<br>수익성 높은 반도체 매출 증가… 영업익 374억으로 두배 껑충<br>3분기도 사상최대 실적 기대

충청남도 아산에 위치한 이녹스 본사. 이녹스는 삼성전자의 갤럭시노트에 들어가는 펜 인식용 FPCB인 디지타이저 소재 등 스마트폰용 부품을 생산하고 있다. /사진제공=이녹스




전자 장비 및 기기 업체인 이녹스가 지난 2·4분기에 이어 3·4분기에도 사상 최대실적이 기대된다. 특히 갤럭시 노트 시리즈에 탑재되는 디지타이저(펜 인식용 FPCB) 소재 매출 급증이 하반기 실적 상승 배경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녹스는 지난 2분기 최대실적을 기록하긴 했지만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에 대한 수요가 급감하면서 FPCB 소재 출하량이 줄어들어 실적이 시장기대치를 밑돌았다.

이녹스의 지난 2분기 매출액은 409억원, 영업이익 75억원을 기록하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영업이익률도 18.3%로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하지만 시장의 기대치에 부합하진 못했던게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익성이 높은 반도체 소재와 커버레이(회로 절연을 위한 복합 필름), 본딩시트(다층 배선판제조를 위한 접착성 시트) 매출 증가로 영업이익률이 크게 개선되면서 사상 최대실적을 이끌었다.

이러한 실적 개선 행진은 하반기에도 꾸준히 이어질 전망이다. FN가이드에 따르면 이녹스의 3분기 시장 가이던스는 매출액 602억원, 영업이익 116억원으로 예상되고 있어 또 다시 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할 전망이다. 연간 실적 추정치도 매출액 2,037억원, 영업이익 374억원으로 전년보다 약 두 배 가까이 성장할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하반기에는 디지타이저(펜 인식용 FPCB) 소재 매출이 급증하면서 하반기 실적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조우형 KDB대우증권 애널리스트는 "삼성의 갤럭시노트3 출시에 따라 이녹스의 디지타이저 소재 매출은 2분기 3억원에서 3분기 120억원으로 급증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인터플렉스를 통해 삼성으로 납품하는 이녹스의 디지타이저 소재는 경쟁사 대비 가격 및 품질 경쟁력이 높아 최초 납품임에도 불구하고 갤럭시노트3 내 점유율이 80%를 상회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이어 "이녹스의 디지타이저 소재는 커버레이(Coverlay) 일체형에 이녹스가 생산하는 3-레이어 FCCL까지 탑재되기 때문에 신제품 매출 확대가 기존 제품의 추가적인 매출 확대로 연결될수 있다"며 "일반적으로 신규 제품은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기 전까지 기존 사업의 수익성을 훼손시키는 경우가 많지만 디지타이저 소재의 경우기존 제품 물량이 동시에 늘어나기 때문에 매출 발생 초기부터 수익성이 방어가 가능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상표 HMC투자증권 연구원도 "이녹스는 디지타이저를 탑재한 신규 플래그십 스마트폰 출시 영향으로 디지타이저 압소버 필름 매출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3분기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0.6% 늘어날 것"이라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그는 "태블릿PC시장의 점유율을 확대하기 위해 주요 고객사가 10인치 이상 신규모델을 다수 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녹스는 내년에도 태블릿PC와 반도체 소재 매출확대로 실적 성장이 지속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기존 FPCB 소재의 생산 효율이 꾸준히 개선되고 재료비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은 반도체 소재와 신제품 매출이 증가하면서 제조원가 중 원재료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어 마진율 개선도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처럼 이녹스의 실적이 사상최대치 경신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가운데 투자자들 또한 이녹스에 대한 관심이 높다. 이는 지난 8월에 있었던 유무상증자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 청약 1만5,681주 모집에 2,258만7,640주가 청약을 해 청약 경쟁률 1440.45대1를 기록한 것. 또 이녹스는 8월 30일 배정기준일로 205만1,373주 무상증자도 실시했다.

손세훈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 9월 24일자로 무상증자 물량이 상장되면서 유무상 증자가 마무리됐다"며 "무상증자분 추가상장에 따른 주가 하락은 오히려 좋은 매수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2계층연성회로기판 적용기기 확대로 지속 성장

● 애널리스트가 본 이회사

손세훈 우리투자증권 연구위원

이녹스는 2004년에 반도체 칩과 기재회로간의 접착용 소재를 국내에서 유일하게 국산화시켰다. 이녹스가 개발한 제품은 LOC, Spacer, LLT, DAF, QFN 등이며 하이닉스와 삼성전자에 공급하고 있다.

또 이녹스는 2013년부터 신규 고부가가치 아이템에 본격 진입해 한 단계 레벨업을 이뤄내고 있다. 신규 아이템 디지타이저 압소버 필름(Digitizer Absorber Film)은 7월내 전 품종 승인을 받아 7월부터 양산 개시했다. 하반기부터 고객사의 태블릿PC 라인업이 본격적으로 출시되고 있음을 감안할 때 디지타이저 압소버 필름이 이녹스의 하반기 실적을 견인할 전망이다.

이 필름은 디지타이저가 전기장 변화를 원활히 읽을 수 있도록 하는 필름으로, 이녹스는 커버레이 일체형 필름을 개발해 경쟁사 대비 디지타이저 공정을 간소화시키는 장점을 보유하고 있다. 기존 디지타이저에는 2레이어(Layer)가 적용되었으나, 3레이어(Layer)가 슬림해짐에 따라 이녹스의 3레이어(Layer) 제품이 디지타이저에 적용되기 시작한 것이다.

또 하나의 신규 아이템인 2계층연성회로기판(2Layer FCCL)의 경우 스마트폰의 경박단소화로 적용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 공급부족 상태에 놓여 있다. 고객사의 프리미엄 스마트폰부터 이녹스의 아이템이 적용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이며, 이는 예상보다 빠른 속도이다. 생산 능력은 현재 5개 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연말까지 2개 라인을 추가할 계획이다. 월 생산능력은 250만㎡에서 350만㎡로 확대될 전망이며, 2014년 역시 2개 라인을 추가적으로 증설할 계획을 갖고 있다.

이녹스는 최근에 400억원 규모의 투자계획을 발표함과 동시에 24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와 20% 수준의 무상증자를 단행하였다. 과거 안성에서 아산으로 사업장을 이전하며 한 단계 도약했듯이, 이번 유상증자를 통해 아이템 다변화를 이루어 크게 성장할 전망이다. 유무상증자 이벤트는 최근 마무리되었으며, 중장기적인 성장스토리를 감안할 때 현재 이녹스의 주가 수준은 매우 매력적인 구간으로 판단한다. 3분기 매출액이 전분기대비 5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동사의 주가는 더욱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성시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