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서울포럼 둘째날] 스로스비 교수 “박 대통령의 ‘창조경제’ 개념은 굉장히 포괄적”


데이비드 스로스비(David Throsby) 호주 맥쿼리대(Macquarie University) 경제학과 석좌교수는 30일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서울포럼 2013’에서 ‘창조성, 문화 그리고 경제적 성공’이라는 주제로 기조강연을 펼쳤다.

스로스비 교수는 “박근혜 대통령이 가지고 있는 ‘창조경제’ 개념은 굉장히 광범위하다”며 창조경제에 관한 자신의 견해를 밝히기 시작했다.


그는 “박 대통령이 창조경제를 설명할 때 ‘문화’라는 단어를 사용한 것은 적절하다”면서 “문화는 우리가 하는 모든 것과 비즈니스 환경의 바탕이 된다”고 전했다. .

관련기사



그는 창조경제를 “창조산업과 문화산업으로 구성된 거시경제의 한 분야”라고 정의했다. 이어 “전세계적으로 이 분야는 전통적인 제조·서비스 분야보다 더 빨리 성장하고 있다”며 창조경제가 국내총생산(GDP) 성장, 고용, 수출, 국제 경쟁력 등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스로스비 교수는 ‘문화·창조산업의 동심원 모델’을 사용해 창조산업의 종류를 설명했다. 원의 중심엔 문학, 음악, 공연예술, 시각 예술 등 핵심 창조예술이 있으며 이 중심을 둘러싼 원에는 영화, 갤러리, 사진 등 그 외 핵심 문화 산업이 자리하고 있다. 그 다음 원에는 문화유산, 텔레비전, 비디오게임 등 더 넓은 개념의 문화·창조산업이 있으며 가장 바깥 원 안에는 광고, 건축, 디자인, 패션 등 창조산업 관련된 산업이 포함돼있다.

스로스비 교수는 예술과 문화 경제학에 대한 독보적 연구와 저술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석학이다. 유네스코(UNESCO),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세계은행 등 국제기구에서 주관하는 다양한 사업의 자문위원으로 활동해왔으며 최근에는 창조경제학, 문화산업, 지속가능한 경제발전과 문화, 예술가의 경제적 역할, 경제 정책과 문화 정책의 관계 등을 주로 연구하고 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