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진화하는 에셋 매니지먼트] <5·끝> 전문가 좌담회


“자산관리 시장이 지금보다 커지기 위해서는 고객들에게 단순히 포트폴리오를 제시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금융과 실물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서비스가 이뤄져야 합니다.” 28일 서울경제신문이 기획시리즈 ‘진화하는 에셋 매니지먼트’를 마무리하면서 마련한 전문가 좌담회에서는 자산관리 시장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들이 제시됐다. 이날 좌담회에 참석한 김영석 금융감독원 자산운용서비스국 국장과 박병주 금융투자협회 증권서비스 본부장, 이상대 삼성증권 마케팅실 상무, 이준서 동국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는 “개별적이고 종합적인 자산관리 서비스에 대한 투자자들의 욕구가 커지면서 자산관리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면서 “자산관리 서비스가 고객들에게 맞춤 포트폴리오를 제시하는 수준에서 나아가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업계와 금융당국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이들은 자산관리 시장을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실물자산에 대한 컨설팅 역량을 강화하고 투자 대상도 국내 주식과 채권에서 나아가 해외 주식, 헤지펀드 등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 본부장은 “랩 서비스는 ▦고객 투자 성향 분석 ▦개별적인 투자자산의 포트폴리오 추천 ▦평가와 리밸런싱이 핵심”이라며 “하지만 지금의 랩 상품은 마치 종목 찍기를 하듯 포트폴리오를 추천하는 방식에 치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투자자들에게 원스톱 복합금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운용대상을 부동산이나 보험 등으로 지평을 넓혀야 하지만 제도상 어려움이 있다는 아쉬움도 피력했다. 이 상무는 “랩 어카운트가 주식 운용만 일임 받는 개념에서 펀드 랩, 헤지펀드 랩 등으로 진화하게 된다면 지금보다는 한 단계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며 “현재는 취급하는 상품의 제약이 많지만 은행처럼 자산관리 투자 수단을 다양화해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면 비약적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교수는 “현행 법 테두리 안에서도 실물자산이나 상속ㆍ법률 등의 서비스에 대해서는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만큼 자문 역량을 키워 보완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자산관리의 중심계좌로서 종합자산관리계좌(CMA)에 차별화된 서비스를 추가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박 본부장은 “선진 금융시장에선 CMA가 자산의 관문(gateway) 역할을 하면서 퇴직연금 서비스까지 연계하는 자산관리의 중심계좌로 기능하지만 국내에선 일반 은행 계좌와 차별화하는데 실패했다”고 강조했다. 이 상무는 “현 수준의 부가 혜택만으로는 CMA 고객을 유치할만한 동인이 약하다”며 “CMA가 자산관리 중심계좌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아이디어 발굴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펀드와 랩 상품의 차별성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어떤 랩 어카운트 상품을 차별화시킬 수 있는 전략은 어떤 게 있을까. 전문가들은 개별성과 전문성, 총체성 세 가지를 꼽았다. 숙련된 전문가들이 투자자들의 종합적인 자산을 개별적으로 분석ㆍ관리한다는 점에서 펀드와는 다르다는 것이다. 특히 박 본부장은 “수많은 상품 중 하나의 상품을 택해 단기로 투자하는 펀드와 달리 랩 어카운트는 장기투자 상품으로서 투자자의 생애 전반을 아우르는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자산관리 시장의 발전을 위해서는 랩 투자자들에 대한 보호장치 마련도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 교수는 “펀드와 달리 랩 상품에 대한 투자 규정이 세부적으로 마련되어 있지 않아 개인투자자들이 법의 사각지대에 놓일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김 국장은 “급격하게 랩 상품이 성장을 하면서 랩 매매종목들에 대한 추종매매, 쏠림 투자현상 등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금감원이 지난 9월 랩과 관련된 관련 규정 개정안을 발표했다”며 “법과 제도의 원칙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투자문화 환경을 개선할만한 세부 규정들을 만들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국장은 또 “금융투자회사의 서비스 가운데 일임형태의 자산관리 서비스는 리스크를 감안해서 유동성과 시장성이 있는 종목을 중심으로 관리를 하게 된다”며 ”부동산 등 유동성과 시장성이 부족한 자산은 자문서비스로 보완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업계는 신뢰성을 확보하고 고객은 수익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라도 자산관리 서비스에 대한 비용 지불 방식을 바꿔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자산관리 서비스 비용을 매매수수료 기반에서 투자 수익의 고정 비율을 수수료로 지불하는 방식으로 바꿔야 한다는 것이다. 이 상무는 “국내에선 자산관리에 컨설팅 비용을 지불하는 문화가 아직 정착되지 않았고 업계도 투자자를 만족시킬만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 한 것이 사실”이라며 “업계가 우선 고객들이 가치를 느낄만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박 본부장도 “매매수수료가 아닌 고정 수수료율을 적용하는 것은 고객과의 이해상충을 줄이는 첫 단추”라며 “회사가 좋은 성과를 내면서 그에 맞는 보수를 받고 고객이 돈을 지불할만한 부가가치를 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 역시 “매매수수료나 성공보수 등으로 자산관리 비용을 지불하는 것은 불합리하다”며 “고정비용을 낼 수 있게 해야 고객의 신뢰도 확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김 국장은 “자문형 랩의 서비스 수수료를 매매수수료와 연계해서 받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매매수수료 수익을 위해서 과도한 매매 회전율이 발생하고 성과보수를 위한 고 위험 추구는 이미 문제점으로 지적돼 개선방안으로 규정 개선안을 내놓았다”고 말했다. 자산관리 시장의 한 축인 퇴직연금 시장과 관련해서는 금융투자업계가 은행, 보험사에 비해 후발주자인만큼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특히 현재의 확정급여형(DB) 위주의 시장은 증권사에게는 다소 불리한 측면이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 상무는 “증권업계가 경쟁력을 가진 상품은 확정기여형(DC)인데 현재 퇴직연금 시장에서는 다달이 일정액을 쌓고 장기적으로 운용해 추가 수익을 낼 수 있는 DC형의 장점이 부각되지 않고 있다”며 DC형 육성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DC형 육성안과 관련해서는 납입시점은 물론 연금개시 시점에서의 세제혜택을 늘려야 한다는 주문도 나왔다. 이 교수는 “내년이면 세제가 바뀌면서 시장의 파이가 커질 것으로 기대했는데 당초 기대보다 시장 규모가 커지지 않고 있다”며 “후발주자인 증권사가 시장 점유율에서 밀리고 있는 게 사실”이라고 분석했다. 박 본부장은 “연금소득 납입액의 소득공제를 늘리거나 연금소득세를 인하해야 한다는 업계의 주문이 있다”며 “퇴직연금에 대한 세제혜택이 많은 호주에선 풍부한 퇴직연금을 운용하며 금융시장이 활기를 띄고 있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