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한-EU FTA로 유럽산 소비재가격 평균 6% 인하

무역협회, 소비재 수입업체 166곳 설문조사

지난달 1일 발효된 한-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의 관세인하 효과로 EU산 소비재의 도ㆍ소매가격이 평균 6%가량 내려갈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무역협회와 한국수입업협회는 9일 FTA 발효와 동시에 관세가 5% 이상 낮아진 대 EU 소비재 수입업체 166곳을 조사한 결과 도매가격과 소매가격이 각각 6.3%와 6.4%씩 낮아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관세가 인하됨에 따라 응답기업의 74.1%가 도매가격을 인하(19.9%)했거나 내릴 계획(54.2%)이 있다고 답했다. 소매가격을 내렸거나(16.3%) 인하 계획(50.6%)이 있는 기업은 66.9%로 집계됐다. 특히 자동차와 와인 분야의 FTA 활용이 활발해 발효 후 수입한 EU산 제품은 물론 발효 전 수입품이나 제3국산 제품에 대해서도 7월 1일 전후로 각각 1.3%(자동차)와 10~15%(와인) 수준의 가격인하를 반영하고 있다. 또 FTA를 활용(47%)하거나 활용 예정(44.6%)인 기업은 전체의 91.6%에 달했다. 수입업체의 절반가량(51.6%)은 FTA의 더 많은 활용을 위해서는 EU측 수출기업의 더욱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국내 수출업자들이 FTA를 활용하기 위해 인증수출자 자격 획득에 적극 나서고 있지만 적지 않은 EU 수출업자는 아직도 인증수출자 제도를 알지 못하거나 자격 획득에 애를 먹고 있다"고 설명했다. 무역협회는 수입업체들이 적극적인 FTA 활용의지를 갖고 있는 만큼 앞으로 EU산 제품의 가격인하 폭과 범위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로 응답기업의 38.6%는 수입 확대 계획이 있다고 답했고, 시장 상황에 따라 확대를 고려한다는 업체는 50.6%로 나타났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수입업체가 FTA 활용에 적극적인 의지를 보이는 만큼 EU 수출업자들이 인증수출자 자격을 많이 획득하는 오는 9∼10월부터는 더 많은 품목에서 가격 하락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