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崔지경 "전력수급 비상…전기절약 동참을"

대국민 담화…"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도입 시기상조"

계속되는 한파에 따른 난방수요 급증으로 전력공급 부족 사태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자 정부가 국민의 전기절약 동참을 촉구했다. 최경환 지식경제부 장관은 12일 "최근 수요 급증으로 예비전력이 비상 수준인 400만㎾ 이하로 떨어질 수 있다"며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 받기 위해서는 국민 여러분의 협조가 절실하다"는 내용의 대국민 담화를 발표했다. 그는 "사무실과 가정에서 전기히터 사용만 자제해도 150만여 가구에 공급할 수 있는 약 300만㎾의 전기를 절약할 수 있다"면서 "전력 수요가 가장 많은 오전10시~정오, 오후4~6시 시간대에는 불요불급한 전기사용을 억제하고 전기난방을 자제해달라"고 호소했다. 이와 관련해 지난 10일 정오 최대 순간 전력 수요가 7,184만㎾로 이번 겨울 들어 세 번째로 사상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담화문 발표 뒤 최 장관은 기자들과 만나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도입은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강하게 나타냈다. 최 장관은 "환경문제에 이니셔티브가 있는 일본 정부도 여러 시행상의 문제가 있어 지난해 말 배출권 거래제를 연기하기로 결정했다"며 "지금은 때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특히 최 장관은 "배출권 거래제를 도입할 경우 낮은 1단계를 적용해도 매년 3조6,000억원, 2단계와 3단계로 확대할 경우 각각 14조원, 27조원가량 산업계 부담이 가중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온난화 문제는 우리만 온실가스를 줄이면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국제공조가 필요한 부분이어서 일정에 쫓기듯 결정할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원자력발전소 건설 수주와 관련해 최 장관은 국제금융기구가 참여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 장관은 "아랍에미리트(UAE) 등 돈 많은 국가와 계약하는 것이 아닌 경우 원전사업은 파이낸싱이 중요하다"며 "우리나라는 금융 여건이 상당히 어렵기 때문에 세계은행(IBRD), 아시아개발은행(ADB) 등 국제금융기구가 지원해줘야 국제 사회에서 파이낸싱이 쉽다"고 지적했다. 한편 최중경 지식경제부장관 후보자가 청문회를 앞둔 10일 국회를 찾아 여야 의원들을 접촉한 사실 때문에 논란이 일자 "대한민국 사회에서 인사 안 하는 것이 이상하지 않은가"라며 "타이밍상 분위기가 이상하니까 그런 식으로 볼 수 있지만 상식적으로 생각했을 때에는 인사하는 것이 정상이다. 나도 그렇게 했다"고 옹호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