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오늘의 경제소사/3월11일] 무기대여법

500억달러. 2차 세계대전 중 미국이 연합국에 지원한 무기와 식량 등의 총액이다. 요즘 가치로 5,254억달러에 해당하는 물자를 내준 근거는 1941년 3월11일 발효된 무기대여법(Lend And Lease Act). 연합국의 병기창을 자임한 미국은 과자 만들듯 무기를 찍어냈다. 전쟁 중 제작한 비행기만 32만4,750대. 항공모함(소형 포함)은 141척을 뽑았다. 7,185톤짜리 수송선을 3일 만에 건조한 적도 있다. 연합국이 쓴 석유 70억배럴 중 60억배럴도 미국 내 유전에서 나왔다. 끝없이 토해내는 전략물자의 혜택을 미국 다음으로 많이 본 나라는 영국. 310억달러어치를 지원받았다. 소련에도 110억달러 상당의 군수품과 원자재가 들어갔다. ‘퍼주기’라는 지적에 루스벨트 대통령은 ‘불 난 옆집에서 소방 호스를 빌려달라고 하는데 우물쭈물하면 불이 옮겨 붙을 수밖에 없다. 일단 불을 끈 다음에 돌려 받는 게 낫다’며 반대 여론을 잠재웠다. 그의 희망은 절반만 들어맞았다. 연합국에 공여된 무기는 승전에 기여했지만 대부분 돌아오지 않았던 것. 무기대여법의 대차대조표는 과연 적자일까. 뒤로 남았다. 미국은 전쟁 중 경제가 성장한 유일한 나라다. 미국의 지원을 받은 38개국에 기반도 마련했다. 무기대여법은 고립주의의 나라에서 초강대국으로 가는 이정표였던 셈이다. 법은 1945년 9월 폐지됐지만 영향력은 여전하다.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지구촌의 전쟁과 긴장도 전시경제체제를 거치며 덩치를 불린 미국 군수산업체의 이익과 무관하지 않다. 한가지만 더. 상환 약속을 지킨 나라는 영국뿐이다. 탕감에 탕감을 거쳤어도 영국의 상환 프로그램은 올해 말에나 끝날 예정이다. 미ㆍ영간 신뢰관계를 가늠할 수 있는 단면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