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유전자 가위 정확성 높이는데 성공… 줄기세포 치료 부작용 줄어들 듯

김진수 서울대 교수 연구팀

국내 연구진이 유전자 가위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0일 김진수 서울대 화학과 교수 연구팀이 표적 DNA 염기서열만을 선택적으로 잘라 교정하는 유전자 가위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유전자 가위란 살아있는 세포의 유전체 중에서 연구자가 원하는 유전자 염기서열만을 절단하는 기술을 말한다. 유전체가 절단되면 세포는 여러 방법으로 끊어진 유전체를 다시 붙이는데 이 과정에서 변이가 생기거나 재배열이 일어나 이를 이용해 의도적으로 변이를 유도하거나 유전체를 재배열할 수 있다.

관련기사



지금까지 유전자 가위는 원하는 DNA 염기서열 이외에 유사한 서열에서도 작용해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등의 한계를 보였다. 유전자 가위의 정확성을 높이는 것은 학계의 숙제였다.

김 교수 연구팀은 가이드RNA(유전자 가위의 DNA 특이성을 결정하는 작은 RNA 분자)의 구조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보다 정교하게 작용하는 RNA 유전자 가위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 기술은 앞으로 유전자ㆍ줄기세포 치료의 부작용을 줄이고 유전자 교정을 통한 고부가가치 농축산물 품종 개량 등에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연구결과는 유전체 분야 국제학술지 게놈리서치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김연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