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이성태총재 일문일답 "초저금리 부작용 아직은 안나타나"

"경제 정상화됐는데 금리 계속 비상상태면 문제되지 않을까 염려"

이성태 한국은행 총재는 8일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초저금리로 인한 부작용이 아직 뚜렷하게 나타난 것은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경제가 정상화됐는데 금리는 비상상태로 계속 남아 있으면 문제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염려하고 있다"고 말해 자신의 임기인 오는 3월 이전에 금리인상을 단행할 수 있다는 여지도 남겨뒀다. -당분간 완화정책 유지하나. ▦선진국 내지 세계 경제가 대체로 호전될 것으로 보고 있지만 이번에 워낙 큰 충격이 있었기 때문에 다소 불확실한 점이 있다. 완화정책을 계속한다는 것은 실물경제에 비해 기준금리가 상당히 낮다는 것이지 '완화기조를 유지하는 동안 금리를 전혀 움직이지 않는다'고 이해하는 것은 정확한 이해가 아니다. -정부 대표자가 금통위 회의에 참석했는데 어떻게 생각하나. ▦지금까지 드린 말씀 외에 별로 드릴 게 없다. 결과를 보고 사후적으로 판단하시면 될 것이다. 말보다는 행동을 갖고 판단해야 한다. 말로 '영향을 받는다, 안 받는다'고 해봐야 무슨 소용이 있나. -재정차관과 한은의 경제인식에 차이가 있나. ▦정부의 경제인식이나 한은의 경제인식이나 크게 봐서는 별 차이가 없다. 다만 세세한 점에서는 꼭 같을 수 없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정부가 재의를 요구할 가능성이 있을까. ▦지금은 상황이 조금 민감해져 그에 대한 답변을 드릴 수 없다. 민감한 상황이 아니라면 답변 드릴 준비는 충분히 돼 있지만 지금은 여러 가지로 해석될 가능성이 많은 민감한 상황이다. -초저금리가 오래 유지되는 데 따른 부작용은 없나. ▦부작용은 신용이 지나치게 팽창하고 사람들이 위험추구형으로 되는 것이다. 그러나 과거에도 여러 번 경험했지만 그 당시에 부작용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고 인지하는 것은 어렵다. 그렇지 않다면 왜 많은 금융사고와 위기가 있었겠나. 그러나 개인적으로 판단하면 현재 위험이 두드러지게 어느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할 만한 것은 없다. 다만 연소가 되려면 탈 물건, 적당한 온도, 산소 공급 등 세 가지 요소가 있어야 하듯이 이런 낮은 금리 수준은 그 세 가지 요소 중 한 가지 정도에 해당한다. 기준금리 2%를 유지하면서도 항상 조심하는 것은 다른 조건들이 성숙됐을 때 이것이 혹시 경제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요소들 중 하나로 작용하지 않을까 하는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