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지난해 韓 단기외채 비중 13년 만에 최저

-갚아야 할 외채보다 받아야 할 채권 더 많아…채무건전성 좋아져

단기외채 비중이 1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지는 등 한국의 채무건전성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외국에 갚아야 할 외채보다 받아야 할 채권이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20일 한국은행이 내놓은 ‘2012년말 국제투자대조표’(잠정)에 따르면 한국의 대외채권 잔액은 392억달러 늘어난 5,359억달러, 대외채무는 147억달러 증가한 4,134억달러로 집계됐다. 대외채권과 채무가 각각 5,000억달러, 4,000억달러를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대외채권의 증가는 통화당국의 준비자산이 206억달러 늘었기 때문이다.


채권 증가액은 장기(113억달러)보다 단기(279억달러)가 많았다.

관련기사



외채는 예금취급기관의 단기차입금 상환(-107억달러)이 증가하면서 단기외채가 1,267억달러로 축소됐다.

반면 장기외채는 국가신용등급 상향 조정에 따른 우리나라 국고채·통안채의 투자수요 증가와 기업의 해외채권 발행 확대로 254억달러나 급증했다.

이로써 우리나라의 순대외채권액은 245억달러 증가한 1,225억달러로, 2006년(1,557억달러)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외국에 갚아야 할 외채보다 받아야 할 채권이 1,225억달러 더 많다는 뜻이다.

채무 가운데 단기외채비중도 2011년 34.5%에서 30.6%로 낮아져 1999년(29.7%) 수준에 근접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