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北 "DMZ 견학땐 인명피해" 엄포

'천안함 참사'후 공식반응

북한군은 29일 정부의 비무장지대(DMZ) 견학ㆍ취재허용 조치에 대해 "인명피해를 비롯한 예측할 수 없는 사태가 발생하게 될 것"이라고 엄포를 놓았다. 북한군 판문점대표부 대변인은 이날 담화를 내놓고 "DMZ를 북남대결에 악용하려는 미국과 남조선 당국의 그릇된 행위가 계속되고 있다"며 이같이 논평했다. 무엇보다 북한군의 이날 담화는 서해 천안함 참사 이후 침묵을 지키던 북한 군부의 공식반응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특히 이는 천안함 사고가 자신들과 아무 관련이 없다는 입장을 간접적으로 표명하면서 새로운 문제제기를 통해 '남남갈등'을 유발시킨다는 전형적인 대남전략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북한군은 또 DMZ 안전질서를 강조하면서 북미대화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상기시켰다. 대변인 담화에서 북한군은 "DMZ의 안전질서를 파괴하는 그 어떤 행위도 허용할 수 없다"며 "그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미국 측이 지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북한군은 아울러 '정전협정 제1조 9항'을 거론하면서 "미국 측이 정전협정 조인 당사자로서 조선반도의 평화와 안전에 관심이 있다면 DMZ의 안전질서를 파괴하려는 책동을 당장 중지시켜야 한다"고 촉구했다. 실제로 DMZ 지역 공개와 취재는 지난해 한 보수언론이 국방부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는 등 이를 두고 한때 갈등이 일었던 사안이다. 따라서 천안함 사고 원인 규명을 둘러싼 남한 내 갈등이 고조될 기미가 보이자 북한 군부는 DMZ라는 민감한 주제를 들고 나와 남한 내 이념갈등을 촉발시키려는 의도를 가진 것으로 해석된다. 앞서 6ㆍ25전쟁 60주년 사업단과 육군본부 등은 지난 2월 국방부 출입 15개 언론사와 'DMZ 취재지원을 위한 MOU'를 공동으로 체결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6ㆍ25전쟁 60주년을 기념해 최초로 DMZ 지역을 언론에 공개하고 군사시설과 생태ㆍ환경 등을 취재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