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카드론 사기” 잇단 경고에도 카드사는 ‘뒷짐’

6개 카드사 본인확인 절차 강화 금감원 요청 무시…카드론 피싱 피해자 분쟁조정서 유리해질 듯

카드회사들이 금융감독원의 거듭된 지도를 무시했다가 카드론 보이스피싱(전화금융사기) 범죄가 대거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금융감독원은 신한ㆍ현대ㆍ삼성ㆍ롯데ㆍ하나SKㆍ국민 등 6개 전업계 카드사의 카드론 취급 실태를 점검했더니 모든 업체가 카드론 피싱 방지 노력을 게을리 한 사실이 파악됐다고 26일 밝혔다. 카드사들이 거듭된 경고음에도 아무런 주의를 기울이지 않은 채 뒷짐만 지고 있다가 화를 키웠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현재까지 접수된 카드론 피싱 피해금 202억원 중 187억원(93%)이 이들 6개 카드사에서 빠져나갔다. 금감원의 경고음은 지난 6월 울리기 시작했다. 카드론의 본인확인 절차를 강화하도록 한 지침이 무려 5차례나 카드사에 내려갔다. 카드론 피싱이 기승을 부린 10월에는 “카드론 신청이 들어오면 확인전화를 걸거나 휴대전화 인증번호를 확인하고 돈을 조금 늦게 지급하라”는 특별지도를 했다. 이런 주의보 또한 카드사에는 마이동풍이었다. 대다수 카드사가 철저히 무시한 것이다. 금감원의 현장 점검에서 카드사들이 둘러댄 이유는 ‘영업에 지장을 준다’거나 ‘인력이 부족하다’는 것이었다. 일부 카드사는 같은 전화번호로 카드론이 자꾸 신청돼 카드론 피싱으로 의심할 만한데도 대출을 해줘 피해를 키웠다. 범행을 예고하는 다양한 신호를 카드사들이 접수했음에도 무사안일한 자세로 일관하다 대규모 피해가 발생한 셈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카드론 피싱은 범인에게 속아 비밀번호 등을 넘긴 피해자 자신에게 1차 원인이 있지만, 예방 노력이 소홀했던 카드사들도 피해 확산에 책임이 있다”고 지적했다. 금감원은 카드론 피싱 피해자들이 분쟁조정이나 소송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이번 점검결과를 관계기관에 제공할 계획이다. 그렇게 되면 피해자들이 보상을 둘러싼 분쟁에서 다소 유리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금감원은 카드업계에서 자체적으로 마련하는 피해구제 기준에도 이번 점검결과를 활용토록 할 방침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카드사의 본인확인 전화를 받고도 카드론을 신청해 피해를 본 사례가 일부 발생하고 있다”며 “어떤 경우에도 다른 사람에게 금융거래정보, 보안카드, 비밀번호 등을 알려주지 말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온라인뉴스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