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3월 20일] 위안화 절상 빨라질 가능성 대비할 때

중국이 전자ㆍ기계 등 주요 12개 업종 1,000여개 기업에 대한 스트레스 테스트를 실시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당초 올해 2ㆍ4분기나 3ㆍ4분기로 예상됐던 위안화 평가절상 시기가 다소 앞당겨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위안화 절상 문제는 그동안 미국이 글로벌 불균형 해소 차원에서 강하게 요구해온데다 최근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WB)에서도 필요성을 언급해 중국 입장에서도 마냥 미룰 수 없는 상황이다. 위안화 절상이 지연될수록 해외로부터 투기자금이 대거 유입돼 자산가격 버블을 심화시킬 우려가 크다는 점도 위안화 절상을 앞당기게 하는 요인으로 지적됐다. 위안화 절상시기 못지 않게 절상폭도 관심거리다. 시장에서 1년짜리 위안화 선물이 3~4% 절상돼 거래되고 있다는 점에 비춰 그 정도 범위에서 절상이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또 원자바오(溫家寶) 총리가 밝힌 "주도적이고 점진적이며 통제 가능한 범위"라는 이른바 '위안화 절상 3대 원칙'에 비춰보면 단계적으로 시행할 가능성이 높다. 중국의 위안화 절상이 일회성에 그칠지 아니면 중국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지난 2008년 7월부터 위안화 환율을 달러당 6.82위안으로 고정해온 페그제를 종료하고 변동환율제로 전환할지는 미지수다. 만약 변동환율제를 도입할 경우 일시적으로 환율변동폭이 커질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중국시장 의존도가 높은 우리로서는 중국의 환율 움직임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정운찬 국무총리도"위안화 절상을 둘러싼 미중 갈등에 대비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위안화 평가절상은 국내 기업의 수출경쟁력에는 도움이 되겠지만 중국의 경기둔화에 따른 마이너스 효과도 만만치 않다. 원화가치가 간접적인 상승압력을 받게 될 가능성도 있다. 2005년 위안화가 19% 정도 절상됐을 때 원화가치는 18% 정도 상승한 전례가 있다. 글로벌 불균형 완화를 위해 위안화 절상은 불가피한 실정이고 국제적인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사실상 시간문제나 다름없는 위안화 절상시기와 폭, 그리고 국제금융시장 및 우리의 수출입 등에 미칠 영향 등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과 대응책을 강구해야 할 시점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