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사들이 국공채 투자 비중을 축소하는 등 저금리 속에서 자산운용수익률을 올리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특히 경기 침체 여파로 국공채 금리의 상승을 기대하기는 어려워 안전 일변도의 보험사 투자 포트폴리오에 적잖은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6일 금융통계정보시스템과 보험업계에 따르면 생명보험사의 국공채 투자 비중은 지난해 6월 말 19.28%에서 올 3월 말 18.38%로 줄었다. 같은 기간 손해보험사도 7.30%에서 6.84%로 감소했다.
반면 생보사의 회사채 투자 비중은 3.47%에서 4.30%로, 특수채는 15.17%에서 17.34%로 늘었다. 손보사도 올 3월 말 회사채와 특수채 비중이 각각 8.37%, 11.91%로 증가세를 기록했다.
전통적으로 국공채 투자에 치우쳤던 보험사들의 이런 변화는 자산운용수익률 하락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지난 3월 말 현재 생보사의 자산운용수익률은 4.76%로 1년 전보다 1.12%포인트나 빠졌다. 손보사도 올 3월 수익률이 4.51%로 4분기 연속 하락했다. 최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와 경제 불안으로 국고채 금리의 하락 속도가 눈에 띌 정도라는 점을 감안하면 보험사들의 국공채 매수 심리는 더 얼어붙을 가능성이 높다.
실제 5년물 국고채 금리는 올 3월 말 3.80%에서 이달 초 2.80%대로 1.0%포인트나 내려앉았다. 은행의 1년짜리 예금 상품보다도 금리가 0.5%포인트 정도 낮은 상황인 셈. 더구나 글로벌 경기 침체로 안전 자산인 국채 선호 심리가 높아져 당분간 국채 금리 상승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과거에 나갔던 고정금리 상품과 아직도 월 5%에 육박하는 공시이율 상품을 팔고 있는 보험사입장에서는 역마진을 피하기 위해 다양한 투자 대안 마련이 절실하다고 볼 수 있다.
대형 생보사 관계자는 "일정 규모 이상의 국공채 투자는 필요하지만 수익률 측면에서 고민"이라며 "회사채 투자 비중을 늘리고 단기금융상품에 투자해 롤오버하는 등의 방법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채권의 투자 비중이 50% 정도고 나머지는 대출ㆍ주식ㆍ부동산 등인데 채권 내에서 비중 조절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