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2006~2007년 만기 국고채 43兆 달해

국가예산 34% 해당… 채권금리 상승 부작용 우려

오는 2006년과 2007년 2년 동안 만기가 돌아오는 국고채 물량이 무려 43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올해 국가예산 134조(일반회계 기준)의 34% 수준에 해당되는 규모다. 이처럼 국고채 만기가 집중됨에 따라 조기상환(바이백) 등 적절한 대응책이 마련되지 않으면 향후 채권금리 상승 등 부작용이 우려된다. 17일 재정경제부에 따르면 국고채 만기 물량이 지난 2004년 말 잔액기준으로 2006년 22조4,000억원, 2007년 20조6,000억원 등 2년간 43조원에 이른다. 올해 만기물량은 8조8,000억원이다. 특정 기간에 이처럼 국고채 만기가 대거 집중된 데는 공적자금 조성을 위해 발행된 채권 등이 국채로 전환됐기 때문이다. 재경부의 한 관계자는 “국고채 발행방식 변경 외에 공적자금과 외평채가 국채로 전환된 것이 주요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향후 상환과정에서 적잖은 부작용도 우려되고 있다. LG경제연구소의 심민영 박사는 “특정 기간에 국고채 만기물량이 대거 몰림에 따라 상환을 위한 채권발행이 늘면서 채권금리 상승 압박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심 박사는 또 “현재 경기회복 속도라면 내년부터 기업들의 투자심리가 본격 회복될 여지가 높다”며 “이에 맞춰 기업들이 회사채 발행물량을 늘리게 되면 채권시장은 금리급등 등 불안한 양상을 띠게 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채권금리 급등(채권값 하락)은 시중자금 단기 부동화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최근 채권금리가 급등하자 채권시장에서 대거 자금이 이탈해 단기 투자상품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에 대해 재경부는 조기상환을 통해 대규모 만기물량 집중에 따른 충격을 줄여나간다는 계획이다. 2004년에는 5조원을 조기 상환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