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뉴타운 땅값 5년간 22% 급등

서울 시내 26개 뉴타운지구 땅값이 뉴타운 추진 후 서울 평균에 비해 최고 10배 폭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 지역은 뉴타운으로 지정되기 전부터 땅값이 급등한 것으로 조사돼 서울시 및 해당 기초단체의 투기방지 대책이 미흡했다는 지적이다. 서울시가 13일 국회 건설교통위 이낙연 의원(대통합민주신당)에게 제출한 부동산학회의 ‘뉴타운사업 투기방지 방안’ 용역보고서에 따르면 뉴타운사업이 시작된 지난 2002년부터 2006년까지 5년 동안 뉴타운지구의 공시지가 상승률은 22.6%로 나타났다. 이는 서울시 전체 평균 8%에 비해 1.8배 높은 수치다. 또 2006년 한해 한남ㆍ장위ㆍ가좌ㆍ신길 등 4개 뉴타운지구의 실거래가격 변동률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4개 뉴타운은 22.4~43.1% 상승해 서울시의 단독주택 평균 14.4%를 최고 3배 이상 웃돌았다. 특히 뉴타운지구의 땅값은 지구 지정에 앞서 급격히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3년 11월 2차 뉴타운으로 지정된 아현 뉴타운의 경우 개발계획이 없었던 2002년 땅값 상승률은 서울 평균 18%보다 크게 낮은 7%에 그쳤다. 반면 뉴타운 지정 계획이 발표(2월)되고 지구 지정(11월)이 이뤄진 2003년에는 땅값이 무려 16%나 급등, 같은 기간 서울시 평균 상승률(5%)의 세배를 웃돌았다. 아현 뉴타운은 2003년 뉴타운지구 신청 후 2005년까지 3년간 무려 70%나 땅값이 뛴 데 이어 2006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추가로 49%가 올랐다. 3차 뉴타운인 신길 뉴타운도 2003년 11월 뉴타운 계획 발표부터 2005년 12월 지구지정까지 2년 동안에만 땅값이 59% 급등했다. 신길 뉴타운과 사업일정이 같은 장위 뉴타운도 같은 기간 33%나 올랐다. 보고서는 “뉴타운지구 대부분이 서울시 평균지가 상승률보다 약 4~10배의 지가상승률을 나타냈으며 (특히) 지구 지정 이전에 급격한 지가상승 현상을 보였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뉴타운 지구 지정 전 투기행위에 대한 방지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