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단독주택 재건축 사업 '탄력'

개봉1 이어 노원·서초구 일대도 용적률 상향조정 잇달아

서울시내 한 단독주택가 전경. 단독주택재건축 용적률이 잇따라 상항 조정되면서 사업에 속도가 붙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인 부동산시장 침체로 거래는 활발하지 않은 상황이다.


서울시의 용적률 상향 조정으로 한동안 제자리걸음을 면하지 못하던 단독주택 재건축 사업에 가속도가 붙고 있다. 지난해 9월 구로구 개봉1지구를 시작으로 노원ㆍ서초구 일대 노후 단독주택지 재건축사업이 잇따라 용적률을 올려 재건축 추진에 나서는 등 활기를 띠고 있다. 11일 서울시와 주요 단독주택재건축조합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9월 개봉1주택구역의 시가 용적률을 법적 상한선까지 처음 올린 후 노원구 월계3ㆍ중계1 구역, 서초구 방배2-6구역의 용적률도 잇따라 상향 조정했다. 늘어난 용적률의 절반분은 전용 60㎡ 이하의 소형주택으로 지어져야 하지만 용적률이 상향되면 총 가구 수가 늘어나 전체 사업성이 좋아지게 된다. 호가는 수천만원 올랐지만 매수자는 거의없어 조합원이 174명인 노원구 중계1구역은 당초 273가구가 지어질 예정이었지만 용적률이 227%에서 275%로 높아지면서 건립 규모가 289가구로 늘었다. 중계1구역 조합의 한 관계자는 "변경 신청을 하느라 사업 속도가 3개월 정도 늦어졌지만 가구 수를 늘리는 것이 더 이익이라고 판단했다"며 "사업비를 재정산해봐야 알겠지만 조합원들의 이익도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대지지분이 76~83㎡인 이 일대의 주택 가격은 지난해 중순 4억원 초 중반이었지만 최근에는 호가가 4억8,000만~5억원가량으로 뛰었다. 조합원이 368명인 개봉1구역도 사업 시기는 6개월가량 늦어졌지만 용적률이 높아지면서 건립 예정 가구 수가 당초 911가구에서 968가구로 크게 증가했다.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용적률 상향 조정은 관리처분인가 이전 단계의 주택 재건축 구역이 대상"이라며 "특별한 하자가 없으면 승인해줄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최근 강서구 염창동 277-44 일대 염창1구역도 상향 조정을 신청하는 등 다른 단독재건축 조합도 수익성을 개선하기 위해 용적률을 잇따라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최근 주택거래가 침체된데다 집값 전망이 불투명해지면서 거래는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 중계동 H공인의 한 관계자는 "물건을 구해달라는 사람은 가끔 있지만 호가가 올라 발걸음을 돌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시세보다 낮게 나온 급매물도 거래가 잘 안 된다"고 말했다. 개봉1구역 역시 대지지분 20㎡ 미만 소형주택은 지난해 중반까지 지분 3.3㎡당 2,500만~2,800만 원에 거래됐지만 지금은 거래가 뚝 끊겼다. 인근 P공인중개사의 한 관계자는 "투자금액이 2억원을 넘어가는 것은 잘 찾지 않고 전세 끼고 1억원 미만으로 투자하려는 사람들만 가끔 문의하고 있다"고 전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단독재건축은 대규모 재개발에 비해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아 수요자들의 관심이 적은 편"이라며 "하지만 용적률 상향 조정으로 수익성이 개선된 만큼 중장기적인 안목으로 투자해볼 만 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