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7월 26일] '친中企 행보' 진정성 갖춰야

"대ㆍ중소기업 불공정행위 실태조사다, 총리와의 간담회다 해서 요란스럽지만 실제로 변하는 게 있겠습니까. 표심을 얻기 위한 일시적 관심이 귀찮을 뿐입니다." 며칠 전 서울디지털단지에서 만난 한 벤처기업 대표는 기자를 만나 대뜸 이렇게 말을 던졌다. 그의 말인즉슨 위에서 관심을 보이니 기관이나 단체에서 툭하면 간담회에 참석하라거나 애로사항을 보내라는 등 오히려 잡일만 많아졌다는 것이다. 그는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오라 가라 귀찮게만 안 해도 살 만하다는 말까지 덧붙였다. 최근 대통령까지 나서 대기업의 상생협력이나 약자 배려 같은 친서민정책을 강조하면서 중소기업도 새삼 '귀하신 몸'으로 대접받고 있다. 중소기업인들은 이 같은 정부의 정책변화에 일단 긍정적인 시선을 보내고 있다. 우리나라 경제의 근간을 이루는 중소기업을 정책의 우선대상으로 삼는 것이 여러모로 바람직하다는 평가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이 같은 정책 변화가 하나의 통과의례일 뿐 오래가지 않을 것이라며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최근 지방선거에서 패배를 맛본 청와대와 여당이 표심을 잡기 위해 중소기업을 일시적으로 이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중소기업인들이 의심의 눈초리를 거두지 못하는 것은 그동안 느껴왔던 배신감도 크게 작용하고 있다. 중소기업들은 '비즈니스 프렌들리'를 표방했던 현정부의 정책기조가 사실상 '대기업 프렌들리'였다는 불만을 제기하곤 한다. 친시장, 규제 완화로 상징되는 산업정책이 대다수 중소기업들에 오히려 기업하기 힘든 환경으로 다가왔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정부ㆍ여당도 이 같은 현장의 곱지 않은 시선을 진지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무엇보다 '친 중소기업 행보'가 선거를 겨냥한 전시용이 아니라 진정 중소기업인들의 아픈 구석을 치유하기 위한 처방이라는 점을 입증해야 한다. 과거처럼 소문난 잔치에 그친다면 당장 '표심잡기'는 좋을지 모르나 오히려 중소기업계의 뿌리 깊은 불신만 키우는 우를 범할 수 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