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주유소지원 유통자금 5조6천억/정유업계 ‘목죈다’

◎확보전 여파 급증 채산성 악화 가중/회수 나서자 공정위제소 반발 거세국내 정유사들이 계열 주유소 확보를 위해 주유소에 지원한 각종 유통자금이 5조6천억원을 넘어서 정유사들의 채산성을 악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5일 대한석유협회에 따르면 유공, LG정유, 쌍룡정유, 한화에너지, 현대정유 등 정유5사가 자사 폴을 달고 있는 주유소에 깔아놓은 외상매출채권, 받을 어음, 대여금 등 유통자금은 95년말 현재 5조6천6백35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같은 지원액수는 93년말 3조4천9백52억원에서 94년말 4조5천4백83억원으로 불어난데 이어 또다시 증가한 것으로 주유소 거리제한 철폐에서 비롯된 정유사간의 과도한 폴사인 쟁탈전이 빚어낸 결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반해 정유사들의 정유부문 손익은 93년 7백48억원의 흑자를 낸 이후 94년 2백37억원, 95년 8백45억원의 적자를 내는 등 계속 나빠지고 있는데다 올들어서도 유가상승과 달러화 강세로 정유업계 사상 최악의 적자가 예상되고 있다. 특히 최근들어 정유업계의 유통자금 회수 노력 과정에서 그동안 상대적으로 풍성한 자금지원을 받아온 주유소 업계가 정유업계를 공정거래위에 제소하는 등 반발하고 있어 정유업계의 고민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대해 정유업계는 공정위에 유통부문에 깔려있는 과다한 자금을 내년 석유가격 자유화와 99년 대외개방을 앞두고 경쟁력 향상을 위한 투자재원으로 활용해야한다는 입장을 담은 소명자료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유통자금을 지원했던 정유사로서는 변명이 있을 수 없지만 당시에는 불안정한 유통구조로 과당경쟁을 할 수 밖에 없었다』면서 『최근의 상황에서 유통부문의 정상화는 정유업계의 생존이 걸린 문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민병호>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