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인천시 독자적 쓰레기 처리 나서

수도권매립지 2016년 사용기간 종료<br>서울·경기 쓰레기 매립불허<br>환경부·서울시 대응 관심

인천시가 오는 2016년 수도권매립지 사용기간이 종료됨에 따라 독자적인 쓰레기 처리에 나서기로해 환경부와 서울시의 대응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수도권매립지는 서울과 인천, 경기도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를 매립하는 장소로 사용기간은 오는 2016년까지이며 인천시는 이후 서울시와 경기도의 쓰레기 매립을 불허할 방침이다.


인천시의 이 같은 움직임에 환경부와 서울시 등 관련기관의 반발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지난 1992년부터 수도권에서 발생하는 생활쓰레기를 묻기 시작한 수도권매립지(인천시 서구 백석동 일대)의 사용기간은 오는 2016년으로 돼 있다. 그러나 수도권매립지 지분의 71.3%를 소유하고 있는 서울시와 28.7%를 갖고 있는 환경부 등은 2044년까지 쓰레기 매립 기간을 연장해야 한다며 인천시와 대립하고 있다.

인천시는 수도권매립지의 악취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2016년 이후 수도권매립지를 폐쇄하고 지역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만 묻을 수 있는 장소를 물색하고 있다고 1일 밝혔다.

심영배 인천시 청소과 수도권매립지 담당팀장은 "인천시내에서 하루에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은 1,800톤, 사업장 폐기물은 1만9,000톤에 이르고 있다"며 "그러나 생활폐기물은 소각시설을 증설해 처리하면 되고, 사업장 폐기물은 대부분 재활용되고 있어 쓰레기 처리에 큰 문제는 없다"고 말했다.


현재 인천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생활쓰레기는 청라소각장(소각로 2기)과 연수구 LNG 기지(소각로 2기)에 설치돼 있는 4기의 소각시설(처리용량 920톤)로 하루 736톤을 처리하고 있다. 시는 이들 2곳에 하루 800톤의 소각처리시설을 증설해 인천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을 처리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시는 오는 10월경 민간업체로부터 사업제안서를 받아 소각처리시설을 추가로 설치하기로 했다.

생활쓰레기를 소각처리 할 경우 전체 20%가 쓰레기 재로 남게 돼 이를 묻을 부지만 있으면 된다.

이에 따라 시는 내년 예산에 소각한 후 나오는 재를 묻을 대체매립지를 찾기 위한 관련용역 사업비를 편성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별도의 태스크포스도 운영 중이다.

시는 대체매립지 후보지를 선정하고 이곳의 토지 가격, 환경조건 등을 알아보는 용역을 내년에 시행할 예정이며 자세한 영역사업 내용과 예산 규모 등은 올해 안으로 결정할 방침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수도권매립지는 인천의 대표적인 혐오시설로 분류되고 있다"며 "악취 등 환경적인 문제를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수도권매립지를 2016년 이후 폐쇄하는 방안 밖에 없다"며 "서울시와 경기도는 자체적으로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소각로를 설치하는 방안과 매립지를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현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