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여야 총재회담 5~6일께 열릴듯

여야는 이번 총재회담이 뉴밀레니엄을 맞아 새로운 정치를 펴나가겠다는 다짐아래 열리는 만큼 가급적 연초에 조속히 회담을 여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이어서 이번주내 성사될 가능성이 높다.그러나 여야 선거법 협상과 각종 정치현안에 대한 조율 여하에 따라서는 회담이 내주 이후로 늦춰질 공산도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이를 위해 여야는 신년연휴를 이용, 총재회담의 시기, 의제 등에 관한 활발한 물밑조율 작업을 벌였다. 여야는 이같은 절충을 통해 정쟁 관련 고소·고발건 일괄취하 등과 함께 한나라당 정형근(鄭亨根)의원 처리·자민련 박태준(朴泰俊)총재의 회담 참여 여부 등을 놓고 이견을 상당폭 좁힌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빨치산 발언」을 한 鄭의원 처리와 관련, 국민회의는 鄭의원의 검찰출두후 사과를 요구하고 있고, 한나라당도 鄭의원의 국회 본회의 사과용의를 밝힘에 따라 원만한 해결방안이 마련될 것이라는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회담 형식은 한나라당측이 朴총재의 참석에 강한 거부감을 표시하고 있어 결국 김대중(金大中)대통령과 이회창(李會昌)총재간 양자 회동쪽으로 의견이 모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의제 문제는 여권이 상생(相生)의 정치실현을 위한 「뉴밀레니엄 정치공동선언」에 초점을 맞춰 선언문에 담길 구체적 내용들을 정리, 제시할 방침이다. 반면 한나라당은 내년 총선의 공정성을 담보받기 위한 범국민 선거감시기구 구성, 검찰·국정원의제자리 찾기 등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양정록기자JRYANG@SED.CO.KR 장덕수기자DSJANG@SED.CO.KR

관련기사



양정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