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일본 대지진의 경제적 파장 최소화해야

일본 동북부 지역에서 발생한 사상 최악의 대지진으로 인한 인적ㆍ물적 피해가 천문학적 규모에 이르고 있어 일본은 물론 세계경제에도 상당한 충격이 우려된다. 11일 일본 도호쿠에서 발생한 사상 최대의 지진과 쓰나미에 따른 사망자만도 2,000여명에 이르고 실종자 수도 1만여명이 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12일에는 후쿠시마 제1원전 폭발로 방사능이 유출돼 인근 주민 21만명에게 대피령이 내려지는 등 방사능 공포까지 겹쳐 재앙이 커지고 있다. 전력공급이 끊기고 도로ㆍ철도 등 주요 인프라가 파괴됨에 따라 일본 동북부 지역에 위치한 자동차ㆍ전자 등 대부분의 산업시설 가동이 중단된 상황이어서 경제활동의 상당 부분이 마비된 실정이다. 인명구조와 피해복구 등을 위해 우리나라를 비롯한 국제사회의 지원이 잇따르고 있으나 피해규모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산업생산을 비롯한 경제활동이 정상화되기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대지진의 피해규모에 비춰 세계경제와 우리 경제에도 상당한 충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13일 긴급 경제정책조정회의와 비상금융합동점검회의를 열어 대책을 논의한 결과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진단했다. 하지만 낙관하기에는 이르다. 대지진 직후 일본 주가와 엔화가치가 급락하는 등 금융시장이 불안에 휩싸였다. 피해복구를 위해서는 막대한 재정부담이 불가피해 가뜩이나 심각한 재정난을 더 악화시킬 것이기 때문이다. 다행히 뉴욕증시가 상승세를 보임에 따라 단기적으로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을 낳고 있다. 그러나 세계 3위 경제대국인 일본의 어려움은 세계경제에 어떤 형태로든 영향을 주게 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우리와 일본은 상호 경제적 의존도가 매우 높아 직간접적인 영향도 클 것으로 보인다. 일본시장은 우리 수출의 6%, 수입의 15.1%를 차지하고 있고 주요 부품ㆍ소재ㆍ자본재 등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일본경제가 어려워지면 국내 산업활동과 수출 등도 악영향을 받게 될 가능성이 그만큼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부와 기업들은 이번 대지진이 경제와 산업활동에 미칠 영향을 파악하고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일본이 하루빨리 피해를 복구하고 정상화될 수 있도록 각종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