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우리나라 국가신용등급 3년째 '제자리 걸음'

외환위기 이전에 비해 2~3단계 낮아

우리나라의 국가신용등급이 북핵문제 등으로 외환위기 이전의 등급을 회복하지 못한채 3년여 동안 제자리 걸음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는 중국과 홍콩, 싱가포르 등 경쟁 상대국들이 속속 신용등급이 올라가거나 최고등급을 유지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27일 재정경제부에 따르면 피치사와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무디스 등 세계 3대 신용평가기관은 우리나라의 신용등급을 지난 2002년 상향 조정한 후 3년째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피치는 지난 26일 우리나라의 국가신용등급을 종전의 `A' 등급으로 유지한다고 밝혀 2002년 6월 신용등급을 `BBB+'에서 `A'로 2단계 상향 조정한뒤 우리나라 신용등급을 조정하지 않고 있다. 또 S&P도 2002년 7월 'BBB+'에서 'A-'로 1단계 상향 조정한 후 우리나라 신용등급을 조정하지 않고 있고, 무디스는 2002년 3월 `Baa2'에서 'A3'으로 2단계 올린뒤 신용등급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피치와 S&P는 외환위기 직전 우리나라에 각각 'AA-', 무디스는 'A1'의 신용등급을 부여했었기 때문에 우리나라는 아직도 외환위기 이전에 비해 2∼3단계 낮은 신용등급을 받고 있는 상태이다. 피치가 우리나라 신용등급을 종전대로 유지키로 한 가운데 무디스와 S&P도 당분간 한국의 신용등급을 상향 조정할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관측된다. 무디스는 지난 4월 방한한 톰 번 부사장을 통해 우리나라 국가신용등급을 'A3'로 현행대로 유지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S&P는 내달 10∼12일 우리나라와 연례협의를 진행할 예정이지만 우리나라 신용등급에 최대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는 북핵문제가 6자 회담에서 눈에 띄는 성과를 내지 못하면 상향 조정이 어렵다는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우리나라가 3년째 같은 신용등급을 유지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주변 경쟁국들인중국과 홍콩은 신용등급이 속속 상향 조정되고 있다. 중국은 지난주 S&P에 의해 국가신용등급이 `A-'로 상향 조정돼 우리나라와 같은등급을 부여받았다. 특히 무디스의 경우 지난 2003년 9월 중국의 신용등급을 `A2'로상향 조정해 한국(A3)보다 높은 신용등급을 매겼다. 지난 98년 `A'(S&P) 등급으로 내려갔던 홍콩도 2001년 `A+'로 신용등급이 올라간데 이어 지난주에는 `AA-'로 상향 조정됐다. 이밖에 S&P 기준으로 싱가포르는 아시아 지역의 외환위기와 상관없이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최고등급인 `AAA' 등급을 유지하고 있고, 일본과 대만도 각각 우리나라보다 3단계높은 `AA-' 등급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대해 재경부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신용등급이 올라서지 않는 주된 이유는 북핵문제가 잘 풀리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며 "앞으로 6자 회담에서 북핵문제 해결과 관련된 실질적 진전이 달성되면 각 신용평가기관에 등급상향의 필요성을 이야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LG경제연구원 이한득 연구위원은 "북핵위험과 함께 우리나라의 지지부진한 경기회복도 신용등급 상향조정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현영복 이 율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