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카드사 대손충당금 적립률 대폭 상향

금융위 '시장 건전성 방안'<br>카드대출 크게 어려워질듯

신용카드사의 카드대출ㆍ부실여신 등에 대한 대손충당금 적립률이 대폭 상향 조정된다. 현재 동일한 신용판매와 카드대출의 충당금 적립률도 대출은 크게 높이는 방향으로 차등화된다. 이에 따라 일반소비자들의 카드대출이 크게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된다. 또 '카드 돌려막기'에 따른 신용카드사의 부실을 막기 위해 복수카드 정보공유 범위가 '3장 이상 보유'에서 '2장 이상'으로 확대된다. 금융위원회는 30일 이 같은 내용의 '신용카드시장 건전성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금융위는 "최근 신용카드사들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지난 2003년 카드대란이 재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며 "카드사 부실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금융위는 현행 1.5%인 정상여신(연체 1개월 미만)의 대손충당금 적립률을 신용판매는 1.1%로 낮추는 대신 카드대출(카드론ㆍ현금서비스 등)은 2.5%로 높이기로 했다. 요주의(1~3개월 연체) 여신은 현행 15%에서 신용판매는 40%, 카드대출은 50%로 대폭 상향된다. 고정여신(3개월 이상 연체) 중 회수가능과 회수의문 여신의 적립률도 현행 20%, 60%에서 신용판매는 60%, 75%, 카드대출은 65%, 75%로 각각 높아진다. 금융위는 이번 충당금 적립률 상향으로 카드사들의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액이 2,117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카드대출에 대한 대손충당금 적립 부담이 늘어 카드사들의 카드대출 확대경쟁이 억제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금융위는 또 카드 정보공유 범위를 기존 3장 이상(발급회사 기준)에서 2장 이상 발급자로 넓히기로 했다. 현재 전체 카드이용자 2,545만명 가운데 3장 이상 보유자는 절반 이상인 1,396만명(54.8%)이며 2장 사용자는 534만명(21.0%)이다. 정보공유 대상도 기존의 인적사항ㆍ사용실적ㆍ이용한도 외에 리볼빙서비스 이용잔액을 포함하기로 했다. 한편 금융위는 신용카드사 부실과 가계부채 부실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체크카드' 소득공제 확대를 추진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