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신용잔고 많은 종목 "조심"

일부 중소형주등 최근 잔고율 계속 높아져<br>시장상황 악화로 매물 쏟아질땐 손실 우려


개인들의 매수세가 이어지면서 중소형주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증시 전문가들은 일부 신용잔고율이 높은 종목들은 매물부담이 우려되는 만큼 투자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신용잔고율이란 전체 상장 주식 수 중 신용융자를 이용해 사들인 주식의 비중을 말한다. 곽병열 대신증권 연구원은 30일 “미수동결계좌제도로 신용 융자금이 급증하면서 개인투자자들의 시장 주도력이 점차 강화되고 있다”며 “잔고율이 높은 종목은 시장상황이 악화될 때 매물화될 위험이 높은 만큼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개인투자자는 5월 한달간 7,634억원어치(29일 기준)를 순수하게 사들이며 월별 기준으로 지난해 5월 이후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이와 함께 신용융자 잔고금액도 급격하게 늘었다. 5월 초 2조8,213억원이던 신용융자금은 현재 4조5,000억원을 넘어섰다. 신용융자는 대출기간이 6개월 등으로 긴 편이다. 따라서 기존 미수거래와 달리 신용융자로 산 주식은 2~3일 내로 처분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투자심리가 바뀔 경우 언제든 매물로 나올 수 있다는 것이 부담스럽다는 지적이다. 곽 연구원은 “유가증권시장 전체의 잔고율은 1.29%, 코스닥시장은 2.85%로 아직까지 크게 우려할 만한 상황은 아니다”면서도 “중소형주, 코스닥 관련 종목들로 최근 신용잔고율이 급증하고 있어 시장상황이 악화될 경우 수급 측면에서의 위험이 존재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실제 지난 29일 현재 유가증권 및 코스닥시장에서 잔고율이 높은 종목들은 대부분 중소형주들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 유가증권시장보다 코스닥시장의 잔고율이 높게 나타났다. 유가증권시장에서는 국동이 잔고율 18.21%로 최고였다. 이는 국동의 전체 상장 주식 중 18.21%에 신용융자자금이 포함됐다는 뜻이다. 이어 ACTS(14.46%), 동양철관(12.04%), 진양화학(11.45%) 등의 순이었다. 코스닥시장에서는 UC아이콜스(20.29%)와 제일바이오(20.21%)가 20% 이상의 잔고율을 기록했고 모보(19.19%), 사라콤(18.93%), 디유뱅크(18.83%), 국영지앤엠(16.4%)이 뒤를 이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