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여야 총무회담 난항] 특검제등 이견 못좁혀

여야는 9일에 이어 10일 3당 총무회담을 갖고 검찰의 조폐공사 파업유도 의혹 등에 대한 국회 국정조사권 발동 문제를 절충했으나 국정조사 대상과 범위, 특검제 수용 등을 둘러싼 이견으로 진통을 겪었다.국민회의와 자민련은 이날 회담에서 국정조사를 파업유도 의혹 사건에 한정할 것을 주장했다. 반면 한나라당은 이 사건을 포함해 고급 옷 로비 의혹, 여당의 3·30 재보선 50억원 선거자금 사용설, 유종근 전북지사 거액도난 논란 등 4대 의혹사건에 대해 국정조사를 벌여야 한다고 거듭 요구했다. 특히 한나라당 이부영 총무는 『특별검사제를 수용하면 돌파구가 열릴 수도 있다』고 언급, 새로운 국면을 맞는 듯했으나 여권의 반대로 원점으로 돌아갔다. 또 김봉호 국회부의장의 사회권 문제도 도마위에 올랐다. 여당은 박준규 의장이 12일부터 해외순방에 나서는 만큼 원활한 본회의 진행을 위해 金부의장의 사회권을 인정할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한나라당이 반대입장을 고수했다. 이에 앞서 국민회의는 김영배 총재권한대행 주재로 고위당직자회의를 열어 야당의 4대 의혹사건에 대한 국정조사 요구를 정치공세라고 일축한 뒤 자민련과 공동으로 조폐공사 파업유도 의혹에 대한 국정조사요구서를 국회에 제출했다. 金대행은 이날 회의에서 『옷 사건은 고위공직자들의 부인이 연루되기는 했지만 자연인이기 때문에 사생활에 관한 것이고 3·30 재보선 50억원 사용설도 설에 지나지 않는다』며 『한나라당이 계속 4개 안건에 대한 국정조사 발동을 고집할 경우 세풍과 총풍 사건에 대해서도 국정조사를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은 이회창 총재 주재로 총재단·주요당직자 연석회의를 열어 4대 의혹사건 일괄 국정조사를 관철시키기로 다짐하고, 여당 단독의 조폐공사 파업유도 국정조사 강행땐 장외투쟁도 불사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李총재는 『조폐공사 파업유도 사건에 대해서만 국정조사를 하겠다는 것은 사태의 진상을 호도하고 면죄부를 주기위한 통과의례로 만들겠다는 것』이라며 『정권의 도덕성을 뒤흔든 나머지 의혹사건의 진상도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양정록 기자JRYANG@SED.CO.KR

관련기사



양정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