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세계의 사설] 성장국가들의 과잉 외환보유

아시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많은 성장국가의 중앙은행들은 요즘 외환보유고 문제 때문에 격랑에 휩싸인 듯 흔들리고 있다. 지금 대부분의 외환보유고는 주로 이자율이 낮은 단기미국재무부채권 투자에 운용되고 있지만 더 좋은 운용 방식을 찾아야 한다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전 미국 재무부 장관이자 하버드대학 총장이었던 로렌스 서머스는 “많은 나라들이 외환위기를 막을 수 있을 정도의 적정 수준을 넘어 과도한 외환보유고를 유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 나라의 외환보유고는 1년간 단기외화표시부채의 양과 같은 수준으로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 경제학의 일반적인 상식이기도 하다. 서머스는 “중앙은행들이 보유 외환의 투자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World Bank)이 주도하는 투자 펀드를 만드는 게 좋겠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그의 주장은 실현 가능성이 전혀 없다. 우선 세계은행에는 자산운용 분야의 전문가가 없다. 게다가 세계의 중앙은행들이 국제기구의 관료들에 의해 통제되는 특정 펀드를 통해 이득을 얻을 것이라는 분명한 근거도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대한 외환을 보유하고 있는 중앙은행들이 외환위기 방어를 위해 적정한 단기자산 규모 수준을 설정하고 동시에 보유외환 운용을 통한 이익을 사회에 환원하는 방안을 찾아내야 한다는 것은 분명하다. IMF는 각국이 유동성 자산의 형태로 어느 정도 수준의 외환보유고를 유지할 것인지를 스스로 평가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중앙은행들이 과잉 유동성을 적절히 나눠 운용할 수 있게 조언하는 일도 유익할 것으로 본다. 그것이 IMF가 아시아 국가들과 건전한 관계를 유지하는 길이다. 외환보유고의 공격적인 사용에는 많은 함정이 도사리고 있다. 외환다변화 과정에서 경제 관료들의 부정부패가 발생할 수 있다. 외환보유고 낭비와 잘못된 자금 운용 등도 우려되는 부분들이다. IMF는 이 같은 부작용이 생기지 않도록 각국이 외환보유고를 투명하게 운용하게 하기 위한 최적의 국제적 실행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