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2005 부동산시장 전망] "최대변수는 정부정책"

10.29대책·후속조치 본격시행 영향 클듯<br>재건축 개발이익환수제등 내달 처리여부<br>중과세 후폭풍·경기 연착륙 방안등 관심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올해도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부동산시장을 좌우할 핵심요소로 부상할 전망이다. 3일 관련업계 등에 따르면 지난 2003년 10ㆍ29 조치와 그에 따른 후속 조치들이 올해 본격 시행된다. 또 지난해 입법절차를 마무리짓지 못한 법안들이 연초 국회 심의를 앞두고 있다. 올해 부동산시장을 달굴 주요 정책들을 살펴본다. ◇개발이익환수제ㆍ실거래가신고제 재차 쟁점 부상 올 2월 임시국회로 넘어온 재건축 개발이익환수제와 부동산 실거래가신고제 등 두 법안의 처리를 놓고 여야는 물론 정부와 부동산 업계의 공방이 재 점화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재건축 개발이익환수제를 담고 있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과 실거래가 신고 의무화를 규정하고 있는 부동산중개업법이 어떻게 처리되느냐에 따라 시장에 미칠 영향도 달라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종합부동산세, 1가구 3주택 중과세 후폭풍 예고 종합부동산세 등 보유세 개편, 1가구 3주택 이상 양도세 중과 등에 따른 세금 후(後)폭풍도 관심거리다. 조세저항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또 늘어난 세 부담 증가가 시장에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발휘할지도 주목 대상이다. 아울러 정부가 시행과정에서 나타날 문제점에 대해 어떤 조치를 취할지도 관심을 모으고 있다. ◇분양가 상한제, 건축비 산정 논란 분양가 상한제 시행과 더불어 올해 상반기 중으로 표준건축비가 확정된다. 이 절차가 마무리되면 공공택지 내 전용 25.7평 이하 아파트는 표준건축비 내에서 분양가를 책정하게 된다. 현재 용역기관에서 표준건축비 산정작업을 진행 중이다. 표준건축비의 적정성 여부를 둘러싼 논란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된서리 맞은 고밀도 재건축 및 리모델링 서울의 13개 고밀도지구 재건축에 적용되는 용적률이 사실상 230% 이하로 확정됐다. 이 같은 용적률은 현행 법상 서울 주거지역 내 최고 용적률(250% 이하)보다 20%포인트 낮은 것. 이에 따라 이들 단지는 재건축과 리모델링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할 기로에 놓이게 됐다. 상반기 중 시행될 예정인 리모델링 증축 허용 용적률 규제 역시 시장에 악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판교 분양시기 및 규모 불투명 분양시장의 ‘로또’로 불리는 판교 신도시 아파트 분양시기 및 규모가 여전히 베일 속에 가려져 있다. 현 상황에서는 분양시기는 하반기, 연내 분양물량은 극소수에 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판교 신도시 아파트 분양은 수도권 분양시장은 물론 기존 주택시장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정부가 어떤 카드를 꺼낼지 주목받고 있다. ◇전국 집값 공시, 상속ㆍ증여ㆍ양도세 부담 증가 그 동안 국세청의 기준시가가 적용되지 않던 단독주택, 다세대, 소규모 연립 등에 대한 기준시가가 오는 4월 첫 고시된다. 이는 단독, 다세대, 소규모 연립 등의 상속ㆍ증여ㆍ양도세 부담이 늘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로 인해 비(非)아파트 시장의 침체가 더 깊어질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추가 부동산 연착륙 방안 여부에 관심 지난해 발표된 정부의 경기 연착륙 조치는 수도권 투기지역 해제, 지방 투기과열지구의 분양권 전매규제 완화 등을 들 수 있다. 정부는 시장추이를 지켜본 뒤 추가로 주택 및 부동산시장 활성화 대책을 내놓을 예정이다. 활성화 대책의 경우 수도권도 일부 포함돼 있다고 하지만 사실상 지방의 부동산 시장에 한정돼 있는 게 현실이다. 정부가 서울 등 수도권에 대해 투기억제 기조를 유지할지, 완화로 방향을 선회할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